KCI등재
高句麗 滅亡期 政治運營의 變化와 滅亡의 內因 = The Changes of Koguryo Politics in the Declining Period and the Causes of its Fall
저자
이문기 (경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1-102(52쪽)
KCI 피인용횟수
34
제공처
소장기관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political causes of the kingdom of Koguryo by examining the political changes in the phases of the declining period. The declining period of Koguryo, that is, the period of king Bojang under dictatorship of Yon Kaesomun(642-668) can be divided into 5 phases; rule of Yon Kaesomun, as a Makliji(莫離支 ;642-644 ), dictatorship of Yon Kaesomun, as a great-Makliji(大莫離支 ; 644-661), dictatorship of Yon Kaesomun, as a Taededero(太大對盧 ; 661-665), rule of Yon Namsaeng(665-666), and rule of Yon Namgon(666-668).
The first phase was begun by Yon Kaesomun's military coup. In order to subdue the opposition party, Yon appointed himself a Makliji, an high office in the king's council and his relative Dosuryukumryu(都須流金流) a dedero. In this period Yon had to accept a politics of the traditional mixed government with nobility, as he could not exercise an exclusive power.
The second phase can be marked by the dictatorship of Yon and his family. Yon established a new office called great-Makliji for himself in 644. He made his power more secure by defeating the invasion force of Tang in 645. Under his dictatorship the office of Dedero, and the Council of Five Offices (五官會議), once core in the mixed government of nobility, became titular, and his son and relatives were placed in the office of Junglee whicn were used as basis of Yon's power. However, his dictatorship and power concentration brought many political and social corruptions, and generated an opposition group, and in result the renouncement of people of the kingdom.
The third phase was a period that Yon returned to the politics by the council of nobility as a strategy to overcome the political crisis caused by his dictatorship. He took the office of Taededero in 661. However his strategy did not serve, instead it made the political situation lose which provided a power struggle between sons of Yon, a fatal cause of the fall of the kingdom.
The fourth and fifth phases, the rule of Yon Namsaeng and his brother, widened the social division and the political crack among the ruling elite. The power struggle between the two brothers was that of two political groups. The surrender of Yon Namsaeng to Tang and the fall of Koguryo were inevitable results of this collapse of politics in these phases.
Given these political changes in the five phases, the fall of Koguryo was caused inwardly dictatorship of Yon and his family. Many of Social and political problems were generated by this dictatorship, and in turn they greatly weakened the social unity of the kingdom. The power struggle between Yon Namsaeng and his brother badly damaged the will of the force and people of the kingdom to fight back against the invasion force of Tang. The inward causes of the fall of Koguryo can be found in the dictatorship of the Yon family and its effects on politics and society.
이 글의 목적은 고구려의 滅亡期를 설정하고, 멸망기의 정치적 변화 단계를 파악하여 고구려 멸망의 여러 원인 가운데서 내적인 원인, 그 중에서도 정치적 원인을 밝히는 데 있다.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구려의 ‘멸망기’는 보장왕의 시대이자, 연개소문 一家의 집권기(642~668)로 볼 수 있다. 멸망기의 정치적 변화 단계는 다시 5단계로 세분되는데, 연개소문의 ‘막리지 재임 단계(642~644)’-‘대막리지 재임 단계(644~661)’-‘태대대로 재임 단계(661~665)’-‘연남생 집권단계(665~666)’-‘연남건 집권단계(666~ 668)’가 그것이다. 이와 같은 소단계는 정치운영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막리지 재임단계는 연개소문이 정변을 통해 권력을 장악했지만, 중앙정계와 지방 성주 중에도 반대파가 상당수 남아 있었다. 이에 연개소문은 반대파의 반발과 견제를 피하기 위하여 자신은 최고의 국왕 근시직인 막리지에 취임하고, 일족인 도수류금류를 대대로로 추대하였다. 이는 대대로와 귀족회의체의 기능과 위상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었기 때문으로, 이 단계는 종래의 귀족연립적인 정치운영이 유지되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대막리지 재임단계는 연개소문 일가의 권력독점과 독재권력의 행사로 요약될 수 있다. 연개소문은 644년에, 직면한 대당전쟁에 대비하여 대막리지 직을 신설하고 자신이 그 직을 차지하였다. 645년 당군을 격퇴한 연개소문은, 승리의 주역으로 권위가 고양되고 권력도 일층 강화됨으로써 이후 최고 권력자로서 일인 독재정치를 운영하였다. 대대로와 ‘五官會議’ 등 귀족연립체제에서의 핵심 권력기구를 무력화시키는 대신 자신의 아들을 비롯한 근친을 국왕 근시직인 중리직에 기용하여 사적인 권력기반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개소문의 독재적 권력행사와 연씨 일가로의 권력집중은 곧 정치·사회적 측면의 여러 가지 폐단을 낳았으며,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졌고 반발세력도 등장하게 되어 고구려 주민의 이탈현상을 초래하였다. 그러한 불만은 흉조의 빈발로 상징되고 있다. 셋째 태대대로 재임단계는 이전 단계 후반의 연개소문 일가로의 권력집중과 독재적 권력행사로부터 야기된 반발을 무마하여 정권의 위기를 극복할 목적으로, 661년 연개소문이 태태대로로 전임하여 귀족연립체제적 정치운영으로 회귀해 갔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완된 정치질서를 회복하기는 어려웠고, 오히려 후계구도를 둘러싼 새로운 정쟁의 불씨를 남겨 결국 남생 형제의 분열로 고구려를 파국으로 몰고 가는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하였다. 네 번째와 다섯 번째 단계인 ‘남생형제 집권기’의 고구려의 정치운영은 연개소문의 독재적 운영방식을 계승한 것이었지만, 이미 ‘대막리지 재임단계’부터 진행된 사회적 통합력의 이완이 더욱 심화되어 핵심 지배세력 내에서도 분열과 갈등이 표출되기에 이르렀다. 남생 형제간의 갈등의 배후에는 정치세력 간의 대립이 숨어있었고, 그것은 결국 최고 집권자 남생의 당 투항으로 이어졌다. 이후 지배세력의 고구려 이탈이 가속화되었고, 고구려 군민의 항전 의지도 크게 약화되었다. 이로써 고구려의 멸망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고 말았다.
이와 같은 고구려 멸망기의 정치적 변화 단계를 고려할 때, 고구려 멸망의 내적 원인으로는 연개소문의 ‘대막리지 재임 단계’에서의 연개소문과 그 일가의 권력 독점과 ...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7-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7 | 3.463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