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명 12장에 나타난 성소 단일화 = Cultic Centralization in Deuteronomy 12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2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
제공처
소장기관
신명 12장은 약속의 땅에서 지켜야 할 규정들로 시작(신명 12,1)해서, 신명 12,2-12.29-31에서 성소 단일화와 관련된 기본 규정들이 우상숭배와 관련된 경신례의 정화와 함께 부각되고 있다. 하느님의 백성 이스라엘에게는 약속의 땅이 단순히 거주해야 할 장소가 아니라, 하느님과의 계약관계에서 펼쳐지는 이스라엘 민족의 삶의 활동 무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약속의 땅을 소유한다는 의미는 한 세대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다가올 미래에도 자손 대대로 지속되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이다. 약속의 땅에 내재된 이러한 이상적인 개념은 이스라엘 민족의 실제의 삶과 항상 긴장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신명 12,2-12.29-31이 나타난 이념을 기본으로 두 차례에 걸친 편집 결과를 보여주는 신명 12,13-19과 신명 12,20-28에서는 하느님의 거룩한 성전을 중심으로 성소 단일화와 관련된 경신례의 중앙 집중화 이념이 이스라엘 민족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기능을 하고 있으며, 그 규정들이 공동체 안에서 실제적으로 적용되는 과정에서 역사의 추이를 따라 공시적 통시적 관점에서 서로 보완되고 편집되었다고 보인다. 신명 12장의 율법 제정자는 약속의 땅, 일탈된 경신례 장소의 배제, 성소 단일화, 경신례의 중앙 집중화와 같은 주요 개념들이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하느님을 향한 전통적 신앙의 정체성이 무엇인지를 하느님의 백성들에게 새롭게 인지시키고 전달하려는 신학적 의도를 갖고 기술하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The Book of Deuteronomy, Chapter 12 starts with the statues(12,1) which should keep in the Promised Land. Then in Chap. 12, 2-12, 29-31 embosses the basic statues about ‘One Sanctuary’ with the purification of worship rites related to Idolatry. To Israelites, People of God, the Promised Land does not mean just the dwelling place, but it is their field of activities within God’s covenant. The meaning of possessing the Promised Land is not corresponded to just one generation, there’s a duty to keep it for the future coming generations. Such an idealistic concept about the Promised Land always formed tensions in Israelites’ actual lives.
In Chap 12, 13-19 and 20-28, which are shown the twice editing result of 12, 2-12, 29-31, the centralization concept of worship rites focused on ‘One Sanctuary’, Holy temple fulfilled the function of revealing the identity of Israelites. Those statutes are complemented and edited in diachronic and synchronic view in the process of applying in actual community with historical transition. The statues maker of Deuteronomy Chapter 12 wrote with these theological intentions; those important concepts of the Promised Land, exclusion of omitted worship place, One Sanctuary, centralization of worship ceremony have inseparable relations to each other. Through this, with theological intentions to People of God aimed to let recognize and deliver what the traditional identity of faith toward God i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