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SCIE
SCOPUS
Classification of strawberry ripeness stages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nd colour spaces
저자
Karki Sijan (Department of Bio-systems Engineering ,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Smart Farm) , Jinju 52828 , Republic of Korea) ; Basak Jayanta Kumar (경상국립대학교 스마트팜연구소) ; Paudel Bhola (경상국립대학교) ; Deb Nibas Chandra (경상국립대학교) ; 김나은 (경상국립대학교) ; 국정후 (경상국립대학교) ; 강명용 (경상국립대학교) ; 김현태 (경상국립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English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SCIE,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37-354(1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Accurate classifi cation of strawberry ripeness is a crucial aspect of ensuring high-quality food products, optimizing harvest ing and storage processes, and promoting consumer health. Although several non-destructive computer vision-based systems have been developed for this purpose, the infl uence of diff erent colour spaces on machine-learning model performance dur ing the ripeness stage classifi cation of strawberries remains underexplored. In this context, three machine-learning models, namely Gaussian Naïve Bayes (GNB), support vector machine (SVM) and feed-forward artifi cial neural networks (FANN), were combined with four colour spaces (RGB, HLS, CIELab and YCbCr) and biometrical characteristics to evaluate the eff ectiveness of colour spaces on the performance of machine-learning models for classifying strawberry ripeness. For this purpose, 1210 samples were collected and manually classifi ed into four ripeness stages. A dataset was created by combining each colour space value, biometrical properties, and corresponding ripeness stage, which was used as inputs to the mode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ANN with CIELab colour space achieved the highest accuracy of 96.7%, followed by GNB and SVM, both having equal accuracy of 95.46% in CIELab colour space. The least accuracy of 92.15% was observed in RGB colour space with the GNB classifi er. In this study, the unripe and over-ripe stages were more accurately classifi ed, while intermediate ripening stages proved to be more challenging for the models. Furthermore, the accuracy of models was observed to be infl uenced by both the colour space and classifi cation model selected. Additional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other features that could improve the performance of models for strawberry ripeness classifi cat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