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柳馨遠의 敎選之制에 나타난 敎人과 取士를 아우르는 방법론, 鄕禮 = A Methodology Encompassing the Education and the Selection of Morally Upright 士民 in Yu Hyung-won’s 敎選之制 Focusing on Hyangrye(VillageRitual)
저자
박사랑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67-310(44쪽)
제공처
본고의 목적은 유형원의 磻溪隨錄에 실린 敎選之制 기획이 기반하고 또 지향하는 知的 맥락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그가 이해하고 꿈꾸었던 士民 교육과 인재 선발의 올바른 방법으로서 향례 실천像을 탐구하는 것이다. 먼저 敎選攷說을 보면, 유형원은 古代 聖王이 행했던 萬民을 가르치는 정치, 그리고 그것이 周禮 속에서 구체화된 모습을 살피고 이후 宋代 聖賢들이 고대 성왕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올바른 학문과 교육을 세우고자 행한 논의를 정리하여 敎選之制의 토대로 삼는다. 고대 성왕과 송대 성현이 행한 정치와 논의를 바탕으로 敎選의 조선판 이상형을 기획한 것이 바로 敎選之制이다. 敎選之制는 단계마다 鄕禮가 배치되어 있다. 먼저 敎의 과정은 矯俗의 鄕禮 중에서도 鄕約으로 시작한다. 가르침을 확장하기 위해 제도화된 鄕約을 기획한 유형원은 이를 통해 역설적이게도 士民의 자율적․적극적 참여를 끌어내고자 했다. 또한, 학교에서는 正齒位 鄕飮酒禮와 鄕射禮를 익혀 고대 예악을 회복하는 방법으로 삼도록 했다. 이와 같은 敎의 과정을 통해 향촌 사회와 士의 도덕성, 사회적 덕목이 길러지면 향촌에서 士民을 가르친 원칙인 德行과 道藝로써 士를 선발해 올리는 貢擧 제도를 시행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의 기획안에서는 士가 오랜 시간 향촌에서 축적해 온 행실과 학업의 결과를 鄕의 公共之論을 통해 살펴 선발하는데, 이때 賓興 鄕飮酒禮를 회복하여 士를 禮遇하도록 했다. 유형원이 이와 같이 여러 향례를 회복하여 각 단계에 배치한 것은 향례를 古代와 宋代 聖人들이 고민했던 바, 즉 ‘어떻게 士民에게 人倫․사회적 덕목을 교육해 변화시키며, 그 가운데 누구를 인재로 명명하여 선발해 관직을 주고 다시 士民을 가르치고 다스리게 할 것인가’라는 고민을 해결할 방법으로 삼았기 때문이었다. 이는 교육과 선발이 모두 人倫이라는 도덕성에 기초하며 그 원칙과 기준이 일관되도록 하여 도덕적 삶의 방향성을 禮로써 익히고 알리도록 함으로써 禮俗을 이루어 전후에 무너진 향촌 사회를 재건하려는 것이었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intellectual context that underpinned Yu Hyung-won’s plan for the Gyoseon System(敎選之制), as presented in the Pan’gye Surok(磻溪隨錄), and the direction in which it was oriente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paper explores the ideal form of hyangnye(鄕禮, village rituals) practice that Yu envisioned as a proper method for educating the samin (士民, scholar-officials and commoners) and selecting talented individuals.
In the section Gyoseon Goseol(敎選攷說), Yu first examines the political ideal of educating the people as practiced by the sage-kings of antiquity and its institutional realization in the Zhouli(周禮). He then reviews the efforts of Song dynasty sages who, based on the teachings of those ancient kings, sought to establish a correct system of learning and education. Yu adopts these efforts as the foundation for the Gyoseon System. Drawing from the politics and discourse of both the ancient sage-kings and the Song Confucian thinkers, he formulated a Joseon-specific model known as the Gyoseon System(敎選之制).
At every stage of this system, hyangnye-local Confucian rituals-are arranged. The educational process begins with hyangyak(鄕約), a form of gyosok(矯俗, reforming customs). Yu Hyung-won institutionalized hyangyak with the paradoxical intention of fostering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among the sami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he proposed that students learn rituals such as the Hyang Eumyerye(鄕飮酒禮, village drinking ceremony) and Hyang Sarye(鄕射禮, village archery ceremony) as a means of restoring the ancient Confucian rites and music.
Yu believed that if, through this educational process, moral character and social virtues could be cultivated within the local community and among scholars, then it would be possible to implement a gonggeo(貢擧) system-recommending scholars for state service-based on the principles of virtuous conduct(德行) and scholarship(道藝), which were the principles used in educating the samin in the village. Candidates were to be selected based on their long-cultivated conduct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in the community, as assessed through public discourse (公共之論,) of the village. At this stage, Yu emphasized the restoration of the Binheung Hyang Eumyerye(賓興 鄕飮酒禮), a ritual designed to treat these selected scholars with appropriate ceremonial respect.
Yu Hyung-won restored and arranged various local rituals at each stage because he saw them as solutions to the questions that the ancient and Song Dynasty sages pondered: “How can we educate and transform the people in human relations and social virtues? And among them, whom should we identify as talented and appoint to official positions, so that they may, in turn, educate and govern the people?” For Yu, both education and selection must be grounded in human morality(人倫)․social virtues, and their principles and standards must remain consistent. By learning and internalizing these values through ritual, moral direction could be properly cultivated and communicated, thereby establishing ritual customs(禮俗) and reconstructing the rural society that had collapsed after war.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