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윤동주시인 육필복원에 의한 디지털폰트디자인 = A Study of Restored Handwriting Digital Font Design (Recovery of Dong-Ju Yun's Autograph)
저자
김민 (국민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9-55(7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Inherently literary artists represented their identity through the works by considering a poetry, calligraphy, drawing and engraving into one. In the works with the harmony, there are an enjoyment of relishing the contained meaning and a visual inspir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impossible to see the differentiated interest of poet through visibility of poem which is published in mass by using typical typeface. Accordingly, a delivery of poetical imagination depends on a reader’s imagination.
A reason that the handwriting of a poet’s autograph poem is different by contents and creation period of the poem is because the handwriting contains the poet’s sentiment. Seeking an alternative for replacing an ordinary print of the collection of poem with a small volume of words was a starting point of autograph restoring font production, and the natural handwriting couldn’t be perfectly reproduc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nt which provided only the same letter. However, the similar feeling of the poet’s autograph could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environment.
This study summarizes the process and result of producing the poet’s handwriting as the digital font based on total 150 handwriting poems including the poetry and prose of Dong-ju Yun. Among total 2,350 letters of forming the completion type’s font, 376 letters were restored preserving the handwriting of Yun, and letters and signs which couldn’t be found in the script including Roman letters were completed through the letter collection and grapheme conversion process by considering a slope, thickness, size and toughness’ average.
예로부터 문인들은 시,서,화,각(詩,書,畵,刻)을 하나로 생각하여 자신의 개성적인 아이덴티티를 작품을 통해 표출하였다. 글, 그림, 글씨와 낙관이 조화를 이룬 작품 속에는 내재된 뜻을 음미하는 즐거움과 시각적 감흥이 공존하는 반면, 천편일률적 활자를 사용하여 대량출판 되는 시집에서 시인마다의 차별화 된 흥취를 시각을 통해 느낀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시상(詩想)의 전달은 독자 스스로의 상상역량에 따라 좌우될 수밖에 없다.
시인의 자필시고에 남아 있는 필체가 시의 내용과 창작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까닭은 글씨에 작가의 감정이 담기기 때문이다. 글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시집에서 평범한 본문용 활자체를 대신할 수 있는 대안의 모색이 육필복원폰트제작의 출발점이었으며, 항시 동일한 낱자만을 제공하는 폰트의 특성상 자연스러운 손맛을 완벽하게 재현할 수는 없었으나, 시인의 손글씨와 유사한 느낌을 컴퓨터 환경 속에 구현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윤동주시인이 남긴 시와 산문 등 총 150편의 육필원고를 토대로 하여 시인의 필체를 디지털폰트로 제작하는 과정과 작업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완성형 폰트를 구성하는 총 2,350자 중에서 376개 낱자들은 윤동주시인의 자필원형을 최대한 보존하여 복원된 것이며, 로만문자를 포함하여 원고에서 찾을 수 없었던 글자와 기호들은 기울기, 굵기, 크기 및 거칠기의 평균치를 고려하여 집자와 자소변형과정을 통해 완성되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2-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4 | 0.512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