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음악과 정신분석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01-323(23쪽)
KCI 피인용횟수
4
제공처
본 논문은 정신분석에서 바라본 음악의 기능을 고찰해 보고 치료매체로서의 음악의 가능성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19세기 정신분석의 태동 이래로 문학과 미술은 인간의 무의식을 분석하는 자료로써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프로이트의 예술에 대한 승화 이론을 필두로 크리스의 이드와 에고의 상호작용 이론 즉 현실과 본능사이의 사이좋은 상호작용의 결과물이라는 이론에 이르기까지 예술은 정신분석에서 다각적 관점에서 인간의 무의식을 분석하는 자료로써의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음악의 경우 문학과 미술작품과는 달리 정신분석에서 거의 논의되지 않는 예술이였다. 이는 음악이 가지는 추상적 감정표현 시간예술이라는 제한점과 20세기 초반까지 재현성 불가능 예술이라는 점에서 정신분석에서의 외면을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음악은 100여 년전 정신분석에서 외면 받았던 상황과는 달리 그 어떤 예술매체보다 인간을 이해하는 창구로 활발하게 연구, 이용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음악은 가장 간편한 개인적 휴식처이다. 이러한 음악의 편이성과 심리적 투사매체로써의 기능은 정신분석에서 음악을 개인 무의식을 분석하는 도구로 쓰기에 적합하다. 이는 음악이 인간의 중요한 발달의 시점과 연관성을 가지며 감정적 기억을 통해 무의식에 접근하기 쉬운 용이성을 가졌기 때문이다. 음악 연주, 감상은 어린이의 놀이처럼 성인의 개인적인 놀이터이다. 음악을 통해 열려지는 환상의 지평은 개인의 무의식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며 이러한 자료의 분석은 정신분석 치료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더보기The purpose this study is to shed new light on the function of music in psychoanalytic perspective and its possibility as therapeutic medium. Since the beginning of psychoanalysis in 19th century, art and literature has played important roles as accessible materials to analyse human unconscious. However, music has been rarely discussed in the field of psychoanalysis different from art and literature. The reason that music has been disregarded by psychoanalysts might be that it is an abstract art which is expressed and unfold in time. Most of all, different from art and literature music was not reproduceable art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before the development recording technique.
Theses days music is actively studied and used more than any other art mediums as an window to understand a human being, which is quiet different situation 100 years ago that music was disregarded in psychoanalysis. Music is the personal place for the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where people can simply and easily take a rest. Music is convenient and has psychologically projective function which is appropriate to use in analysing individual unconscious. It is because music is related to human development and through emotional memory music is easy to access to reach our unconscious. Performing and listening to music is like having a personal playground for adult. The fantasy that is opened through music has a direct relation to individual unconscious and the materials from musical analysis has a important value in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 | 0.803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