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국 디지털 경제의 발전과 노동사회의 변화 = The Development of Digital Economy in China and the Transformation of Labor-Society
저자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INSTITUTE OF CHINESE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41-264(24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최근 중국은 디지털 기술의 혁신을 통한 산업구조 전환을 국가 중점 전략으로 강조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경제구조와 노동양식의 변화가 매우 빠르게 전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 디지털 경제의 발전과 이를 추동하고 있는 산업정책의 주요 특징, 그리고 이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노동사회의 변화와 쟁점을 관련 정책 문건과 자료를 토대로 분석했다. 특히 중국 경제성장 동력이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혁신과 창업으로 전환되면서 다양한 신산업, 신업종, 신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취업 경로가 다양해지고 시간제와 임시직이나 계절적, 탄력적 업무 등 업무방식 또한 날로 유연해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 노동법에 근거한 노동관계로 포괄되지 않는 여러 영역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무엇보다 플랫폼 노동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노동인력에 대한 관련 법제도 및 정책 시스템이 아직 완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근로시간, 업무형식, 임금 지불, 관리규칙 등에서 파생되는 노동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사회보장 서비스 체계도 새로운 노동형태에 맞춰 재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현행 노동감독과 쟁의조정 및 중재 방식도 새로운 형태의 취업과 창업 추세에 맞게 변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무엇보다 중국의 이러한 변화는 한국의 산업구조와 노동정책에도 직접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디지털 경제의 발전과 노동사회의 변화를 둘러싼 중국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갖는 성과와 한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더보기Recently, China has emphasized the transformation of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innovation of digital technology as a national key strategy. As a result, changes in economic structure and labor style are developing very rapidly.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in detail the development of digital economy in China, the main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policy driving it, and the changes and issues in the labor relations that have arisen based on related policy documents and data. As China's economic growth engine is transformed into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based on the Internet and digital technologies, various new industries and new models are emerging. As a result, employment paths are diversified, and work methods such as part-time jobs, temporary jobs, and seasonal and flexible jobs are also becoming more flexible. Therefore, there are problems in various areas that are not covered by labor relations based on the existing labor law. Most of all, it is not possible to effectively respond to labor problems derived from working hours, work patterns, wage payments, management rules. because the related legal systems and policy systems for new types of workforce have not yet been completed. In addition, the social security service system needs to be rebuilt in line with the new types of labor, and the need to change the current methods of labor supervision, dispute coordination and arbitration to meet the new types of employment and start-up trends is also raised. In particular, it is worth noting that this change in China can have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Korea's industrial structure and labor poli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tudy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y efforts surrounding the development of digital economy and changes in labor-society.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7-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hinese Studies and Sinology -> Journal of Sinology and China Studies | KCI등재 |
2015-07-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China Studies -> Journal of Chinese Studies and Sinology | KCI등재 |
2015-03-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China Studies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8-2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OF CHINESE STUDIES, Center for International Area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 -> INSTITUTE OF CHINESE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8 | 0.28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1 | 0.27 | 0.492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