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법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Study on improvement of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laws in Koorea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 2009.8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한국어
DDC
340 판사항(22)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128 p. : 삽도 ; 30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강현호.
참고문헌: p. 121-125
DOI식별코드
소장기관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e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rivate data protection laws due to frequent private information leaks. While these leaks were limited in the past, nowadays, the extent of damage caused by leaks has rapidly expanded due to online computerized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Moreover, private-sector data protection is governed by many separate individual laws.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individuals to know in what ways their private information should be protected and what they should do in case of information leakage.
The public sector makes as its primary goal the promotion of public welfare. To achieve this goal, there has been an inevitable, growing need for public organizations responsible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private data. The private information held by the public sector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ivate sector in that while it is very sensitive, it is still mandatory to provide. For example, if the records of an individual's divorce, medical or crime history were opened to the public, that is not only a clear privacy infringement, but could also result in that individual suffering other hardships such as loss of social security benefits and character defamation. It is for these reasons that private information should be subject to constitutional protection.
This paper takes a close look at legislation on the data protection law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suggests controversial issues and solution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ata protection laws in the Republic of Korea govern the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separately. Due to this separate system, regulation disparitie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and blind spots in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emerge. Therefore, there is a necessity to establish an improved regulatory system that governs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ogether, as exists in other OECD countries.
Secondly, information on the process of obtaining consent for collecting private data and providing that data to a third party is perfunctory – that is, it is merely offered with other general information. When data processing entities request consent from private entities for private data, information on the consent request process and where the personal data provided ends up should be required to be given separately from other general information.
Thirdly, current private data protection laws should be more expanded and rationalized in terms of protection scope and retention period. Data protection for the deceased is needed as well. Computerized private information that is currently excluded from subjects to be protected by the private sector should be included. It is currently up to the heads of organizations holding the private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retention period of private data. However, the retention period of private data could be a matter of significant importance to the individuals who provided such information. Therefore, the data retention period should be expressly stipulated in a law or private data supervisory authorities should be granted the power to administer and supervise the retention period. Moreover, data protection for the deceased is needed to protect the right of personality of bereaved families.
Fourthly, leakage of private data usually entails multiple victims at a time, and the pattern of damage is the same. Therefore, private data protection laws should include a collective dispute resolution system that would serve to arbitrate conflicts in a timely manner.
Lastly, to effectively protect an individual’s private information, the independence of the data protection supervisory authority is critical. For this, two options are under discussion: to establish the supervisory authority under the president's direct authority; or to establish it as a central government agenc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a central government agency is also subject to supervision, it is better to establish the supervisory authority in the form of an independent committee under the president's authority. Since the current data protection supervisory authority lacks the substantial power to monitor and investigat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is so that the supervisory authority is granted the right to monitor, investigate, order suspension of infringement, decide compensation for damage and intervene in a dispute, to ensure that private data protection laws work effectively in reality.
최근 개인정보보호는 개인정보의 불법 유출 등으로 인해 우리 사회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지금은 개인정보를 전산처리하여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피해의 범위가 넓다. 이러한 현실에도 민간부문은 일반법 없이 분야별로 개별법이 산재되어 있어 수범자는 규범의 준수에 있어 혼란을 느낄 수 있다.
공공부문을 살펴보면,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민간의 개인정보수집과 다르게 의무적으로 제공하여야 하며, 그 정보의 민감성 또한 민간이 보유하는 개인정보 보다 크다. 예를 들어, 개인의 이혼․범죄 기록 등이 공개된다면 프라이버시권, 인격권, 재산권, 사회보장수급권 등 다양한 기본권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점이 개인정보를 헌법적 차원의 보호 대상으로 다루어야 하는 이유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제 일반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이원적인 개인정보보호법제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분의 규율 체계상 불균형은 물론 개인정보보호의 사각지대가 존재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입법 모델 중 OECD, EU, 독일 등과 같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을 모두 규율하는 통합 일반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개인정보 관리자가 개인정보의 정보수집 등의 동의를 받는 방법은 다른 정보와 함께 개재하는 경우가 많아 형식적인 동의 절차를 통해 개인정보가 수집되고 제3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다른 정보와 구분해서 고지하도록 규정해야 한다.
셋째, 보유기간의 합리화 및 사인(死人)의 개인정보보호가 필요하다. 현행 규정은 개인정보의 목적달성 여부와 보존기간을 보유기관의 장에게 일임하고 있다. 따라서 보존기간의 명문화 또는 개인정보감독기구에 보존기간에 대한 관리․감독권을 부여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아울러 사인(死人)의 개인정보보호를 확대하여 사인과 유족의 인격권을 보호해야 할 것이다.
넷째,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률」은 보호대상에서 수기화된 개인정보를 제외하고 있다. 따라서 전산 처리되지 않은 개인정보도 개인정보보호법의 적용대상에 포함시켜 개인정보 보호에 소홀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법제정 이후, 현실적인 개인정보보호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개인정보 감독기구의 독립이 중요하다. 중앙행정기관 또한 감독기구의 감독대상임을 고려하면 개인정보 감독기구를 대통령 소속의 독립기구로 설치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개인정보 감독기구가 조사․감독 등에 있어 실질적 권한을 보유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해 개인정보 감독기구에 조사권한, 시정권고권, 침해정지명령권, 피해구제기능과 분쟁조정권한 등을 부여하여 개인정보의 실질적 보장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현재 국회가 추진 중인 개인정보보호 법안도 본 논문의 개선방안과 방향을 같이 하고 있어 바람직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일반법으로서의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이 논의 중이지만, 분야별 특수성을 반영한 개별법 제정 등이 남아있는 만큼 개인정보보호 법제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