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行政訴訟에서 假處分 規定의 準用 - 대상결정: 대법원 1980. 12. 22.자 80두5 결정, 대법원 2015. 8. 21.자 2015무26 결정 - = Regulation of Provisional Dispositions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9-208(40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Article 23.2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applies to appeal litigation. Hence, regarding such appeals, provisions regarding provisional dispositions under the Civil Execution Act do not apply, and in party litigations, suspension of execution does not apply. Thus, it is the court’s view that provisions regarding provisional dispositions under the Civil Execution Act apply for party litigations according to Article 8.2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In other words, depending on whether provisions for suspension of executions exist or not, injunction provisions under the Civil Execution Act do not apply in appeal litigations, but do apply to party litigations.
This interpretation is believed to be influenced by Japanese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s. But the Japanese perceive temporary injunctions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as administrative acts, rather than judicial acts, according to their traditional views of superiority of its administrative bodies over the judiciary. On such understanding, Japan’s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s have a system of allowing for opposition by the Prime Minister, in which the executive's judgment overrides the judgment of the judiciary in the suspension of execution. Also, injunctions that hinder the exercise of public power may be excluded.
But in Korea, unlike Japan, when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was enacted, it attempted to compensate for the vacancy of temporary injunctions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by applying the provisions of provisional disposition in the Civil Execution Act. Hence, the Court taking the view above ignores the differences of legislative intent and differences in regulation between the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laws of Japan and Korea in relation to temporary injunctions.
On the other hand, if interpreted according to precedents, a gap will remain open for temporary injunctions in appeal litigations. This interpretation contradicts the demand for effective protection of rights derived from the right to trial of Article 27 of the Constitution. Hence a transition based on Constitutional values are necessary.
판례는 항고소송에 대해서는 행정소송법 제23조 제2항의 집행정지에관한 규정이 있으므로 민사집행법상의 가처분에 관한 규정이 준용되지 않고, 당사자소송에 대해서는 집행정지에 관한 규정이 준용되지 않으므로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에 따라 민사집행법상의 가처분에 관한 규정이 준용된다는 입장에 있다. 즉, 집행정지 규정이 있고 없음에 따라 항고소송에는민사집행법상의 가처분 규정이 준용되지 않고 당사자소송에는 준용된다는것이다.
이러한 해석론은 일본의 행정소송법학과 판례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추정된다. 그러나 일본은 전통적으로 사법부에 대한 행정부의 우위사상에따라 행정소송에서의 가구제절차를 사법작용이 아니라 행정작용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방식에 입각하여, 행정소송법에 집행정지에서 행정부의 판단이 사법부의 판단에 우위를 두는 내각총리대신의 이의제도, 공권력의 행사를 저해하는 가처분을 배제하기 위한 가처분의 배제조항 등을두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일본과 달리 행정소송법이 제정될 때 행정소송에서의 가구제절차의 공백을 민사집행법상의 가처분을 준용함으로써보완하려고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례가 위와 같은 견해를 취하는것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임시적 권리구제절차에 대한 입법의도와 행정소송법 규정상의 차이를 무시한 것이다.
한편, 판례대로 해석하면, 항고소송에서는 가처분이 허용되지 않음으로써 임시적 권리구제절차의 공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해석은 헌법 제27조의 재판청구권에서 도출되는 효율적인 권리보호의 요청에 반하는 것이므로, 헌법합치적인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6 | 0.513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