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감독청의 직권취소의 범위와 한계 - 대상판결 : 대법원 2017. 3. 30. 선고 2016추5087 판결 - = Scope and Limits of State Supervision of Local Authorities - An analysis of the Supreme Court Case No. 2016Chu5087, decided on March 30, 2017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05-350(46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소장기관
지방자치법 제169조는 지방자치단체장의 명령 또는 처분이 위법한 경우 감독청은 시정명령을 거쳐 취소 · 정지할 수 있도록 하여,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가감독을 규정하고 있다.
대상판결은 서울특별시인사위원회위원장이 지방의회의 의정활동을 보좌하기 위한 목적으로 임기제공무원을 채용하는 공고를 하였고, 이러한 채용공고가 위법하다는 이유로 감독청인 행정안전부장관이 시정명령을 거쳐직권취소를 하자 이에 대해 대법원에 제소한 사안으로, 대법원은 채용공고는 감독청의 직권취소의 대상이 되는 처분이며, 채용공고는 법령상 근거없이 지방의원의 유급보좌인력의 도입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위법한바, 이 사건 직권취소는 적법하다고 판결하였다.
대상판결과 관련하여 첫째, 채용공고가 처분으로서 직권취소의 대상이될 수 있는지, 둘째, 유급보좌인력의 채용을 내용으로 하는 채용공고가 위법한 것인지가 쟁점이 되며, 대상판결에서 직접 판단된 것은 아니지만, 셋째 직권취소처분이 재량의 한계를 준수하였는지 여부가 문제된다.
우선 직권취소의 대상과 관련하여, 지방자치법 제169조는 직권취소의대상을 명령 또는 처분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나, 그 의미는 항고소송의 대상인 처분과는 구별되는 보다 넓은 의미의 것으로 보아야 한다. 국가감독은 지방자치의 보장에도 불구하고 국가법질서의 통일성 확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위법행위에 대한 통제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 항고소송과같이 - 권리구제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국가감독은 지방자치의 보장과 모순된 것이 아니며, 오히려 지방자치 보장의 이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따라서 국가감독에 있어서는 행위의 성격에 따른 구별이 필요한 것이 아니며, 지방자치단체의 행위 전반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판례의 입장은 타당하다.
둘째, 유급보좌인력의 채용을 내용으로 하는 채용공고가 위법한 것인지와 관련하여, 대법원은 지방의원에 대한 유급보좌인력의 도입은 국회가 법률로 정해야 할 사항으로 현행 법제상 그러한 법적 근거가 없으므로 위법하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대법원의 입장은 법논리적으로는 물론 헌법상 보장된 지방자치의 취지에 비추어보더라도 타당하지 않다. 우선적으로 대법원이 지방의원에대한 유급보좌인력의 설치가 반드시 법률로 정하여야 할 사항이라고 보는논거가 명백하지 않다. 일반적인 법률유보의 원칙상으로는 물론, 「지방자치법」 제22조 단서를 고려하더라도 유급보좌인력의 설치가 주민의 권리 제한이나 의무 부과와 직결되는 사항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지방의회는헌법에 의해 보장된 필수기관으로, 대의제 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한 주민의대표기관인 점에서는 물론, 지방자치단체에게는 자율적 사무수행에 필요한조직과 인력에 대한 자치조직권이 헌법적으로 보장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지방의원에 대한 유급보좌인력의 설치 여부는 당연히 조례에 근거하여 규율될 수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 지방자치제도의 가장 큰병폐의 하나로 지적되는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이라는 관점에서 보더라도, 지방의원에 대한 유급보좌인력의 설치는 지방의회의 입법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집행부에 대한 충실한 견제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책임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대상판결이 이 사건 ...
Article 169 of the Local Autonomy Law stipulates that if the order or disposition of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is illegal, the Authority may cancel and suspend the order or disposition through a correction order.
The concerned Supreme Court decision ruled that the cancellation of the Authority is legitimate in the case where the chairman of the Seoul Metropolitan City Personnel Committee made an announcement to hire a civil servant for the purpose of assisting the local council, and the Minister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t that time as the Authority canceled the job announcement after issuing a correction order based on the illegality of the job announcement.
The issue of the judgment is twofold: First, whether or not the job announcement is subject to cancellation by the Authority, and second, whether the job announcement is illegal.
Regarding the first issue, Article 169 of the Local Autonomy Law stipulates that the object of revocation by the Authority is an order or disposition, but the meaning of the disposition at that time should be regarded as broader than the disposition of the subject of the appeal. State supervision of local governments is not aimed at the remedy of an right like an appeal suit but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illegal acts of local governments for the unity of the national legal system, and therefore the object of state supervision should not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administrative function, but should be regarded as the entire administr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In that respect, the conclusion of the ruling is correct.
Regarding the second issue, the Supreme Court is stipulating that it is illegal to give a paid assistant to a local councilor because it is a matter to be determined by law, but there is no such ground in the present law.
However, the position of the Supreme Court is not correct in light of the logic of law as well as the purpose of local autonomy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First of all, it is not clear that giving a paid assistant to a local councilor is necessarily a matter of law.
It is not reasonable due to the general contents of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and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paid assistant system restricts the rights of residents or imposes an obligation even if Article 22 of Local Autonomy Law is considered. Rather, the local council is a mandatory institution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s a representative body of the people to realize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self-governing authority for the organization and manpower necessary for autonomous administrative affairs in local governments is constitutionally guaranteed. In this regard, the introduction of a paid assistant system for local councilors should be regarded as autonomous by local governments, even without the mandate of national law.
In this regard, the Supreme Court 's conclusion that is unlawful for recruitment announcements of this case is merely a judgment based on actual laws, and is not justifi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local autonomous legal system.
Since local autonomy is a system guaranteed directly by the Constitution, realization of the ideology of local autonomy intended by the Constitution is the realization of the rule of law in the local autonomous region, which is also the responsibility of the judiciar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6 | 0.513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