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쥐 해마에서 Norepinephrine 유리를 조절하는 A_1-adenosine 수용체의 역할에 미치는 K+ 통로 차단제의 영향 = Effect of K+-channelBlockers on the A_1-adenosineReceptor-Coupled Regulation of Electrically-Evoked Norepinephrine Release in the Rat Hippocampu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6
작성언어
-주제어
KDC
518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01-310(10쪽)
제공처
Since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depolarization-induced NE release is inhibited by activation of presynaptic <TEX>$A_1-adenosine$</TEX> heteroreceptor in hippocampus, a large body of experimental data on the post-receptor mechanism of this process has been accumulated. But, the post-receptor mechanism of presynaptic <TEX>$A_1-adenosine$</TEX> receptor on the NE release has not been clearly elucidated yet. Therefore, it was attempted to clarify the participation of <TEX>$K^+-channel$</TEX> in the post-receptor mechanisms of the <TEX>$A_1-adenosine$</TEX> receptor-mediated control of NE release in this study. Slices from rat hippocampus were equilibrated with <TEX>$^3H-norepinephrine$</TEX> and the release of the labelled products was evoked by electrical stimulation (3 Hz, 5 <TEX>$VCm^{-1}$</TEX>, 2 ms, rectangular pulses), and the influence of various agents on the evoked tritium-outflow was investigated. Adenosine, in concentrations ranging from <TEX>$1{\sim}30\;{\mu}M$</TEX>, decreased the NE rele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out affecting the basal rate of release. 4AP <TEX>$(1{\sim}30{\mu}M)$</TEX>, a specific A-type <TEX>$K^+-channel$</TEX> blocker, increased the evoked NE release in a dose-related fashion, and the basal rate of release is increased by 10 and <TEX>$30{\mu}M$</TEX>. TEA <TEX>$(1{\sim}10{\mu}\;M)$</TEX>, a nonspecific <TEX>$K^+-channel$</TEX> blocker, increased the evoked NE rele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out affecting basal release. The adenosine effects were significantly inhibites by 3 <TEX>${\mu}M$</TEX> 4AP and 10 mM TEA treatment. 4AP <TEX>$(30{\mu}M)-$</TEX> and TEA (10 mM)-induced increments of evoked NE release were completely abolished in <TEX>$Ca^{++}</TEX> free, but these were recoverd in low <TEX>$Ca^{++}</TEX> medium. And the effects of <TEX>$K^+-channel$</TEX> blockers in low <TEX>$Ca^{++}</TEX> medium were inhibites and abolishes by <TEX>$Mg^{++}</TEX> (4 mM) adding and TTX <TEX>$(0.3{\mu}M)$</TEX> adding medium,
더보기흰쥐 해마(hippocampus)에서 norepinephrine(NE) 유리에 미치는 <TEX>$A_{1}-adenosine$</TEX> 수용체의 post-receptor 기전에 <TEX>$K^+$</TEX>-통로가 관여하는지에 대한 지견을 얻고자 하여 <TEX>$^3H-NE$</TEX>로 평형시킨 해마 절편을 사용하여 adenosine의 <TEX>$^3H-NE$</TEX> 유리에 미치는 <TEX>$K^+$</TEX>-통로 차단제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Adenosine<TEX>$(1{\sim}30{\mu}M)$</TEX>은 전기자극(3 Hz, 2 ms, 5 <TEX>$VCm^{-1}$</TEX>, 구형파)에 의한 NE 유리를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TEX>$K^+$</TEX>-통로 차단제의 하나인 4-aminopyridine(4AP, <TEX>$1{\sim}30{\mu}M$</TEX>)은 자극에 의한 NE 유리를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특히 10 및 <TEX>$30{\mu}M$</TEX>의 투여에 의해 기저 유리 또한 증가시켰다. 또 다른 <TEX>$K^+$</TEX>-통로 차단제인 tetraethylammonium(TEA, <TEX>$1{\sim}10mM$</TEX>) 역시 자극에 의한 NE 유리를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나 이때 기저 유리에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TEX>$K^+$</TEX>-통로 차단제의 adenosine 효과에 미치는 실험에서는 adenosine에 의한 NE 유리 감소효과가 4AP <TEX>$3{\mu}M$</TEX> 동시 투여에 의해 억제되었으며, 또한 1 mM TEA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않았으나 3 mM TEA 동시 투여에 의하여는 억제됨을 볼 수 있었다. 한편 <TEX>$30\;{\mu}M$</TEX> 4AP 에 의한 NE 유리 증가효과는 <TEX>$Ca^{++}$</TEX> 제거 영양액에서는 완전히 소실되었고 영양액 내의 <TEX>$Ca^{++}$</TEX>을 정상 농도의 1/4로 하였을때에는 NE 유리 억제가 어느정도 회복됨을 볼 수 있었으며 이때 기저 유리 또한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l/4 <TEX>$Ca^{++}$</TEX> 농도시에 4AP의 NE유리에 미치는 효과는 영양액내의 <TEX>$Mg^{++}$</TEX>을 4mM로 올렸을때 크게 억제되었으며 <TEX>$0.3\;{\mu}M$</TEX> tetrodotoxin(TTX) 동시 투여에 의해 완전히 차단됨을 볼 수 있었다. TEA 10mM에 의한 NE 유리 증가효과 역시 <TEX>$Ca^{++}$</TEX> 제거 영양액에서 완전히 소실되었고 이 또한 1/4 <TEX>$Ca^{++}$</TEX> 영양액에 의하여는 회복됨을 볼 수 있었으며 <TEX>$Mg^{++}$</TEX> 증가 영양액에서는 억제, TTX 동시 투여시에는 완전히 소실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흰쥐 해마에서 <TEX>$A_1-adenosine$</TEX> 수용체를 통한 adenosine의 NE 유리 감소는 TEA 및 4AP에 예민한 <TEX>$K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