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의학 검체검사의 경고치 보고(Critical Value Report)에 관한 실태 조사 보고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DC
515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14(6쪽)
제공처
Purpose: Critical value report (CVR) are intended to prevent delays in diagnosis and treatment, as results outside the reference range can cause serious harm to patients. After conducting a survey on the status of warning value reporting in each institution's laboratory that performs nuclear medicine specimen testing, the level of preparedness for patient safety was identified, and the category, guidelines, and reporting system for warning value reporting tests were checked and applied effectively and obj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are these methods and suggest policies and plans for improvement plans. Materials and Methods: A questionnaire related to warning value reporting was prepared with 20 questions using Excel and sent by e-mail to 46 medical institutions and trusted institutions undergoing domestic nuclear medicine specimen test certification review from 2024.03.18 to 2024.4.09.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the setting of warning value reporting items for each institution and the overall trend of work were analyzed using distribution maps, etc. Results: Of the 46 medical institutions, 32 responded via e-mail, showing a response rate of 69.5% of the 22 items. The most common warning value reporting setting item was FreeT4 (N=8), followed by HAVIgM (N=7), neonatal TSH, HBcIgM (N=6), Cyclosporine (N=4), TSH, PTH, PSA, and neonatal FT4 (N =3), Thyroglobulin (N=2), and other HCVAb, T3, AFP, ACTH, CA125, CA19-9, CA15-3, Cortisol, Aldosterone, HBsAg, AB(++), Prolactin (N= 1). It seven organizations (24.1%) set warning value reporting items due to the request from the prescription department and 19 organizations (65.5%) set their own items in preparation for each certification audit. Conclusion: The reason why each institution that conducts nuclear medicine specimen testing tends to have a high tendency to set its own warning value reporting items is not because of the demands of the prescribing department or clinician, but because it is included as an important factor in each certification review item, so the items are required by necessity. It was found that among the total responses, 6 organizations (18.7%) do not report warning values, which appears to be determined by each organization's situation. If each institution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warning value reporting and sets the items and scope, it is recommended to have a warning value reporting monitoring system. Taking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the patient population, etc., it is recommended that the prescribing department, clinicians, and quality control managers within the department establish standards. We suggest that arrangements be reviewed regularly. It is believed that if warning value reporting items and standard values are set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etc. , it can contribute to promoting the importance of nuclear medicine specimen testing and increasing reliability.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