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아티스트피 지급에 대한 제도적 접근에 대한 고찰 = Study of Institutional Approaches to the Payment of Artists’ Fe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9-149(31쪽)
KCI 피인용횟수
6
제공처
This study is intended not only to examine the methods of and standards for the payment of artists’ fees as the minimum reward which represents the minimum approach to the survival of artists and the recognition of the particularity of art creating activities, but to review the meaning of arguments originating therefrom. Therefore, this study addresses what particulariti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nd what conceptual discussions should take place for the institutional approach to the artists’ fee system, on which domestic discussions have recently been initiated in earnest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started to seek a plan to institutionalize the artists’ fees.
This study also aims to identify the considerations needed to introduce a scheme for artists’ fees and propose a plan to launch a policy by analyzing the concepts mixed in the term of “Artists’ Fees”, checking the current domestic situation and reviewing several overseas cases which have summarized the standards and methods for the payment of artists’ fees.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in the conceptual approaches to the payment of financial rewards for artists’ creative activities implicit in the terms such as artists’ fees, participating artists compensation, production fee, artworks rental fee, etc.
is review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on the terms used by the professionals in the art community and their awareness of the current statu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dentified in the cases of paying artists’ fees by national museums, public museums, private museums and alternative spaces in Korea, as well as close examination on the details of the guidelines for the standards and methods of artists’ fee payment led by a private art organization or the central government.
Through such analysis and examination, this study not only defines artists’ fees as a pure concept of ‘reward’ that can be considered in the domestic art community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production fee or artworks rental fee, but also presents the necessity and methods of institutional approach to the payment of artists’ fees.
본 연구는 그간 예술가의 생존문제에 대한 최소한의 접근이자 예술창작행위의 특수성을 인정하는 의미로서의 최소 사례를 지급장치로서의 아티스트피 지급방식과 기준은 무엇이 있으며, 그로 인해 발생하는 담론들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따라서 최근 국내 예술계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고,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도화 방안 모색이 시작된 아티스트피 관련 제도적 접근은 어떤 특수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어떤 개념적 논의가 있어야 하는 가를 분석해보았다. 아티스트피 라는 용어 안에 혼재되어있는 개념들을 분석하고, 국내 예술계 구조로 인한특수성을 살펴보고, 아티스트피에 대한 기준과 방식을 정립하고 있는 해외사례들을분석함으로써 제도적 도입을 위한 고려사항과 정책적 도입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예술계 전문가들의 아티스트피와 연관된 용어에 대한 인식조사와 국내 특수성을 고려한 아티스트피 지급 문제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분석을 통해 아티스트피, 참여작가 보상비, 제작지원금, 작품 대여비 등의 용어 속에 예술가의 창작활동에 대한 지급에 대한 개념적 접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조사 대상은 전문가는 공공 및 사립미술관 및 예술기관 관계자, 예술가, 정책연구자 총 25명으로 구성되었고, 반구조화인터뷰 방식을 사용한 FGD방법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국내 국·공·사립미술관및 대안공간들의 현황조사를 실시하여 아티스트피 지급사례들의 특징과 문제점을분석하고, 해외사례 중 민간단체 주도형 방식과 정부주도형 방식의 아티스트피 가이드라인의 특징을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국내 예술계에서 고려해볼 수 있는 아티스트피의 개념적 정의로 제작지원금 및 대여비 등과 분리되는 순수한 ‘사례’의 개념의 아티스트피의 정의를 제시하고, 아티스트피 지급에 대한 제도적 접근의 필요성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4-2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KCI등재 |
2021-04-2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Journal of Arts Management and Policy | KCI등재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 | 1.1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7 | 1.28 | 1.487 | 0.4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