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수까 자따까와 마하바라따 앵무새 에피소드의서사구조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Suka-jataka and the Parrot Episode of the Mahabharata
저자
김진영 (서강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9-263(25쪽)
제공처
본 연구는 불교의 자따까와 힌두교의 마하바라따 텍스트에서 상호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앵무새 자따까’ 두 편과 마하바라따의 ‘앵무새 에피소드’를 대조분석한다. 인도의 고대 우화를 차용한 두 장르는 공통적 출처의 서사를 자체적 각색과정을 거쳐 독자적인 종교문헌으로 발전시킨다. 두 문헌군의 내용과 구조적 차이점을 살펴보기 위하여 MJ와 CJ의 원전을 자따까의 삼중 플롯 구조로 해석한다. 이어서 마하바라따의 앵무새 에피소드와 줄거리, 등장인물, 상징 등과 비교한 후 주요한 덕목을 근거로 자따까와의 사상적 상이함을 순차적으로 제시한다. 각 서사의 화자인 붓다와 비슈마가 교설한 동물서사가 불교의 보살과 힌두교의 아뜨만, 친구와의 우정과 왕의 다르마로 이상화하는 과정도 고찰한다. 이를 통하여 앵무새왕이 구비한 미덕의 탁월함이 불교의 수행자와 힌두교의 왕에게 적용되어 두 종교의 윤리적 가치로 승화되도록 유도하는 서사의 골간과 그 진정한 가치를 밝히고자 한다.
더보기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two ‘Suka(parrot) Jatakas’, which are considered highly interrelated in the Buddhist Jataka and Hindu ‘Parrot Episode’ of the Mahabharata. The two genres, which borrow from ancient Indian fables, develop narratives from common sources into independent religious literature through their own adaptation process. In order to examine the content and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f literature, the original texts of MJ and CJ are interpreted as the triple plot structure of the Jataka. Then, after comparing the Parrot Episode of the Mahabharata with its plot, characters, and symbols, the philosophical differences from the Jataka are presented sequentially based on major virtues. The process in which the animal fables taught by the narrators of the narrative, Buddha and Bhishma, are idealized as the Bodhisattva of Buddhism, the Atman of Hinduism, friendship(mitta) with friends, and the Dharma of the king is also examined. Through this, we aim to reveal the narrative framework and its true value, which lead to the excellence of the virtues possessed by the Sukaraja(Parrot King) being applied to Buddhist practitioners and Hindu kings, thereby sublimating them into the ethical values of the two religion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