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신라 사천왕사 관련 불교문화원형 발굴과 활용 방안 = A Study on the Excavation and Utilization of Buddhist Cultural Archetypes from Silla’s Sacheonwang-sa Templ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22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47-283(37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사천왕사는 호국불교의 출발점에 위치하고 있다. 679년 신라가 당나라의 침입을 당해 국난을 이겨내기 위하여 창건되었다.
본 논의는 사천왕사가 지니고 있는 다양한 역사문화자원 가운데 불교문화 원형의 발굴과 활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사천왕사라는 공간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와 관련된 중층적인 면모를 어떻게 발굴하고 오늘날에 살아 숨쉬게 할 것인가에 주목하였다.
본 논의를 통해 사천왕사의 역사와 유물에 담긴 다양한 상징과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현재에 되살리고 발전시켜 앞으로 미래에 어떻게 자리매김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논의가 사천왕사에 담긴 다양한 문화원형이 우리 눈앞으로 되살아오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논자는 사천왕사에 담긴 역사를 이야기로 풀어내고, 과거의 역사를 담고 있는 유물과 유적을 디지털로, 이미지로 확장해서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아울러 불교문화콘텐츠를 통해 사천왕사에 담긴 다양한 가치를 현재와 미래에 활용해내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Sacheonwang-sa Temple (四天王寺) can be considered the starting point of the belief that Buddhism is the guardian of the nation. The Sacheonwang-sa was founded in 679 during the Silla Dynasty (57 BCE-935 CE) to help confront a national crisis caused by the invasion of Tang China.
This paper focuses on the exca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cultural archetypes of original Buddhist architecture and artifacts that are being discovered at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I noted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Sacheonwang-sa and studied how to excavate the multi-layered features of the temple in order to restore it to active use.
The intention is to restore Sacheonwang-sa to its original state by reconstructing as much as possible whatever cultural artifacts and architecture are discovered there. These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rchitectural features, artifacts, texts, teachings, artwork, etc. Our hope is that these discoveries will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history and significance of Sacheonwang-sa so that it may reclaim its status in modern Korea and become a part of our lives.
It is my hope that the history of Sacheonwang-sa Temple can be reconstructed to the extent that digital technology and computer graphics can be used to depict it and even an accurate historical narrative can be created to pass on for posterity. These discoveries are also expected to be developed into Buddhist cultural contents for possible applications in the tourism sector.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