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리빙랩을 활용한 대학의 지역사회 연계 교과목 운영사례 : 대학교 기술교육과 ‘A’ 교양수업 적용 사례 중심으로 = Examples of the University's Community Engaged Curriculum Operation Using Living Lab :Focusing on Application Cases of 'A' Liberal Arts Classes in University Technical Education
저자
이승원 (충남대학교 기술교육과 시간강사)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01-312(12쪽)
제공처
This study began with the analysis of actual cases of operating community innovation subjects as a new educational innovation platform, University Living La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the possibility of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ies. To this end, the Living Lab was applied in the ‘Creative Invention and Team Problem Solving’ subject, a liberal arts class opened in the Technical Education Department of C University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2022 academic year. Classes were held for a total of 15 weeks, and the most important activity was a project activity for each team that discovered the local community's agenda and came up with a problem-solving method through the Planning Living Lab, which was operated for 12 weeks. The achievements of operating Living Lab subjects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n university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of subjects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helped improve the field orient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nd formed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ommunity. Second, the operation of Living Lab subjects could create a new model for education and research innovation. Third, through the Living Lab, it was possible to lay the groundwork for university student-centered community innovation. The policy tasks for revitalizing living labs in universit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operative governance of course operation in universities. Second, living lab operation subjects should be expanded. Third,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form and activate a community platform with the local community. Fourth, in order for Living Lab to be vitalized in university education, a continuous management system for final results is needed.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many cases of operating these subjects will be presented, and that Living Lab will become a sustainable oper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더보기본 연구는 새로운 교육혁신 플랫폼인 대학 리빙랩(Living Lab)으로 지역사회 혁신 교과목을 운영하고, 그 실제 운영사례의 분석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과 지역사회가 연계한 협업의 가능성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22학년도 1학기에 C대학교 기술교육과에서 개설된 교양 수업인 ‘창의발명과 팀 문제해결’ 교과목에서 리빙랩을 적용하였다. 수업은 총 15주로 진행되었으며, 가장 핵심이 되는 활동은 지역사회의 의제를 발굴하여 기획리빙랩으로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팀별 프로젝트 활동으로 12주간 운영하였다. 대학교육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리빙랩(Living Lab) 교과목을 운영한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과목의 운영은 대학 교육의 현장지향성 향상과 지역사회와의 협력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둘째, 리빙랩 교과목 운영은 교육 및 연구혁신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셋째, 리빙랩을 통해 대학생 중심의 지역사회 혁신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대학에서 리빙랩이 활성화되기 위한 정책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교과 운영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리빙랩 운영 교과를 확장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와의 커뮤니티 플랫폼 형성과 활성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넷째, 리빙랩이 대학교육에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최종결과물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향후 이러한 교과목 운영사례들이 많이 제시되어 대학교육에서 리빙랩이 지속가능한 운영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