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내 전통 옻칠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for Revitalization of the Domestic Traditional Lacquer Industry
저자
백한승 (단국대학교 미술학부 조교수)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55-168(14쪽)
제공처
This study was initiated with the purpose of proving the importance of the modern lacquer field, improving productivity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lacquer masters and companies, and expanding the scope of activity of traditional lacquer craft in order to seek ways to develop and revitalize the domestic traditional lacquer craft industry. This is a proposal for the industri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the traditional craft field, and it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linking craft and industry and art and industry. Therefore, this thesis proves the artistic and functional value of traditional lacquer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necessity of the times, and proves the value of art, commerce, and practicality through the artist's brand entrepreneurial purpose and value, and production method. In addition, various examples of products produced in collaboration with craftsmen and companies are introduced, and the importance and value of mechanization and division of labor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popularization policies are compared with the limited production, sales, and distribution methods of traditional lacquer craft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proposed. .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the traditional lacquer craft industry presented through such cases are as follows. First, the advancement and popularization of craft culture can be achieved when the technology and production method of traditional crafts are modernly improved and realistic industrialization policies are realized. Second, in order to revitalize lacquer, it is necessary to move away from maintaining and preserving tradition and moving toward branding and industrialization of individuals and companies through creation and utilization of the times. three. Through active collaboration with companies, we realize the division of labor, which is an advantage of crafts,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raditional technologies through mechaniz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Fourth, in order to utilize and industrialize lacquer, it is necessary to nurture expert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to develop lacquer crafts and produc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expect the industrialization and vitalization of traditional crafts by seeking a base change in the traditional craft industry and improving the public's pre-understanding of craft.
더보기본 연구는 국내 전통 옻칠 공예 산업의 발전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현대 옻칠 분야의 중요성을 입증하고 옻칠 장인과 기업의 협업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전통 옻칠공예의 활동 영역 확장을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전통공예 분야의 산업화, 대중화를 위한 하나의 제안으로 공예와 산업, 예술과 산업의 연계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통 옻칠의 예술적, 기능적 가치를 역사적 배경과 시대적 필요성을 바탕으로 증명하고 작가의 브랜드 창업 목적과 가치 그리고 생산방법을 통해 예술과 상업 그리고 실용의 가치를 증명한다. 또한 장인과 기업의 협업으로 생산된 다양한 제품 사례를 소개하고 생산 공정의 기계화, 분업화 과정과 대중화 정책의 중요성과 가치를 전통 옻칠 공예품의 제한된 생산, 판매, 유통 방식과 비교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사례를 통해 제시한 전통 옻칠공예 산업의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공예의 기술과 생산 방식을 현대적으로 개선하고 현실적인 산업화 정책이 실현되었을 때 공예문화의 선진화, 대중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옻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통성을 유지하고 보존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창조와 시대적 활용을 통한 개인과 기업의 브랜드화, 산업화로 나아가야 한다. 셋째, 적극적인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공예의 장점인 분업화를 실현하고 생산 공정의 기계화를 통해 전통 기술의 생산성을 향상한다. 넷째, 옻칠을 활용하고 산업화하기 위해서는 옻칠 공예품과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통 공예 산업의 저변 화를 꾀하고 대중의 공예에 관한 선이해 관점을 개선하여 전통공예의 산업화, 활성화를 기대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