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적재조사사업계획의 신 모델에 관한 연구 = 爭點事項을 中心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39-161(23쪽)
제공처
본 연구는 지적재조사사업계획의 문제점을 살펴 본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토지관련 전문인(교육분야, 공무원, 정부투자기관, 대한지적공사 직원, 부동산서비스업 종사자 등)을 중심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지적재조사사업계획 및 지적재조사법(안)의 쟁점사항으로는 추진기구의 비체계성, 2차원 지적의 한계, 지목분류체계의 비효율성, 지적재조사법(안)과 타법률과의 충돌, 분쟁지 해결방안의 미비, 지방자치단체 재원부담율의 불합리 등으로 나타났다.
전문인들의 의식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은 지적재조사사업계획에 반드시 첨부되어야 할 사항들이다. ① 현행 행정자치부의 조직체계 및 업무량을 고려하였을 때, 지적재조사사업을 전담하여 추진한 부서의 신설이 필요하며, ② 지적재조사사업계획서에 따른 2차윈 지적의 한계에서 탈피하여 그 범위를 지중까지 확대한 3차원 지적으로 확대함으로써 다목적 지적제도를 지향하여야 한다. ③ 효율적인 토지의 관리를 위하여 지적재조사사업 계획 및 지적재조사법(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34개의 지목체계에 대하여 지중으로 확대되어 가는 토지이용현황을 반영하여 ‘입체지목’을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적극 검토해 보아야 힐 것이다. ④ 지적재조사법(안)과 기타의 토지공법들과의 관계가 명확히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⑤ 이웃과의 경계분쟁이 발생하였을 경우 독일에서 사용하고 있는 “경계확정계약”의 도입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⑥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능력을 충분히 고려하여 사업소요경비에 대한 부담률을 조정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model of cadastral reform in order to carry it out successfully by examining the current cadastral reform act(draft).
To settle six problems, questionnaire of experts on the cadastre are made up and, then,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is, new model of cadastral reform project must include the following. ① It is crucial to establish the exclusive post of executing cadastral roferm project, ② The cadastral reform project are enlarged to three-dimensional cadastre, as well as two-dimensional cadastre, ③ It is essential to reclassify the land category to manage land effectively, ④ It is necessary to clear up the relation between cadastral reform act and the other land-related laws, ⑤ It is needed to introduce contact of the adjacent neighbors for settling boundary troubles, ⑥ The financial burden of a local autonomous entity was mediated reasonably in considering their financial independence ability.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