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암 경험자들의 긍정적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about the Positive Change among People who Experienced Cancer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주제어
KDC
2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5-285(61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소장기관
본 연구는 암을 진단받고 투병 생활을 경험했던 사람들의 생애 경험을 현상학적 사례연구 방법(phenomenological case study)으로 분석하여 암 전후 겪었던 긍정적 변화의 본 질 구조와 의미를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네 명의 성인 남녀들로 인터뷰 당시 항암 치료가 끝났거나 완치판정을 받은 상태였다. 참여자 1의 경 험에서 발견한 본질적 주제는 『나를 내려놓기』, 『신앙의 등 불 켜기』, 『치유의 선교자』, 참여자 2의 본질적 주제는 『어 울려 살아가기』, 『고통 속에서 건져 올린 소명』, 『신앙으로 채워가는 삶』, 참여자 3은 『현재를 향유함』과 『암 경험자로 서 새로운 삶』, 참여자 4의 경험은 『번민 속에서 핀 깨달 음』, 『성불하는 삶』, 그리고 『몸과 마음의 탐구자』로 표현할 수 있다. 본질적 주제들을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개 별적으로 경험한 긍정적 변화의 본질구조를 관통하는 전형 적 주제는 『상처 입은 치유자로 거듭 나는 삶』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암 투병의 고통과 번민의 시간들을 겪은 후 상 처 입은 치유자 로서 새롭게 변모하게 되는데, 암이라는 외 상(trauma)을 계기로 타인의 상처를 보듬는 치유자로서 거 듭 나는 삶, 새로운 삶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적은 수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이지만, Tedeschi와 Calhoun이 주장한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 이론의 핵심적인 내용들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암 환자들의 치유와 삶의 질 개선 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면 첫째, 암 환자들의 심 리적 안정과 치유를 위한 동료상담(peer counseling) 프로 그램의 확대, 둘째, 암을 진단받은 후 치료받는 과정에 있 는 사람들에게 영성적으로 힘이 되어 줄 수 있는 프로그램 을 지원하고 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암 환자들의 생활세계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이들을 위한 사회복지서비 스를 개선하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By using the method of phenomenological case study, this study explored the essential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positive change that cancer patients have experienced after they were diagnosed of cancer. Four participants living in Seoul and Gyunggi area either finished their chemotherapy or completely cured cancer at the time of interviews. The essential themes of participant 1 were 『putting myself down』, 『lightening the lamp of religious faith』, 『a missionary of healing』, those of participant 2 were 『mingling with people』, 『a calling heard from suffering』, 『filling my life with faith』, participants 3 were 『enjoying the present』 and 『a new life as a cancer survivor』, and those of participant 4 were 『enlightenment blossomed out of suffering』, 『a life of becoming a Buddha』, and 『an inquirer of mind and body』. The typical theme of the four participants’ positive experiences turned out to be 『born again to live as a wounded healer』.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mselves as a wounded healer after passing through the time of suffering and struggling with cancer. That is, the experiences of cancer brought a turning point of their life to live as a wounded healer who can cure the wounded. The present study is based on a few cases but strongly supports the five domains of posttraumatic growth theory that Tedeschi and Calhoun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peer counseling programs can be effective for cancer patients when they need psychological relief, and that spiritual or religious programs need to be extended in order to encourage cancer patient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7-09-0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생명문화연구원 -> 생명문화연구소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1 | 0.41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25 | 0.538 | 0.2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