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최치원 관련 지리산 한시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Chinese Poems about Choi Chi-Won in Mt. Jiri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1-130(30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지리산에는 역대로 수많은 인물과 관련 이야기가 전해진다. 시간이 흐를수록 소멸되거나 새롭게 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최치원과 관련한 것들은 조선시대 수백 년 동안 꾸준히 일화를 생성했고, 새로운 유적을 만들어냈으며, 문학작품도 지속적으로 산출되었다. 대개 기존의 것이 없어지지 않고 새로운 이야기가 그 위에 보태지거나 파생되어 나타났다. 이는 ‘공간과 인물’의 상관성에서 보아도 매우 특이한 현상인데, 본고에서는 최치원 관련 한시가 지리산에서 수백 년 간 ‘생성·확산·공존’해온 정황을 ‘저자·유적·일화’라는 3가지 측면에서 살폈다.
먼저 최치원 관련 지리산 한시는 儒者와 佛者에게서 공통으로 산출되었다. 이처럼 수백 년 동안 유자와 불자에게서 한 인물에 대한 수많은 작품이 동시에 산출되는 경우는 흔치 않다. 이는 최치원이 조선시대 유자에게도 불자에게도 인정받은 인물이기 때문인데, 특히 불교계에서는 西山大師 休靜 계열에게서 많이 나타났다.
둘째, 지리산권역에 소재하는 최치원 유적은 眞鑑禪師碑와 같은 역사적 유물과 허구의 가상 유적이 혼재해 있다. 그러나 ‘사실’과 ‘허구’라는 엄청난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곳을 찾은 유람자들의 감회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현장에 소재하는 유적보다는 최치원의 실제 삶에 더욱 공감했기 때문이다. 예컨대 최치원은 文廟에 宗祀된 첫 번째 인물이고 또 唐나라에서 文名을 떨친 최고의 문장가였음에도, 유람자들은 그보다 불우했던 그의 삶을 통해 오히려 자신을 위로받았기 때문에 관련 유적의 ‘사실과 허구’라는 양면성이 전혀 문제시되지 않았던 것이다.
셋째, 지리산에 소재하는 최치원 관련 유적에는 계속해서 이야기가 더해져 왔다. 동일한 유적에 같은 이야기가 점점 확산되고 구체화되어 전승되거나, 아예 새로운 유적에 새로운 이야기가 생성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수백 년의 시간차에도 불구하고 지리산에 최치원 관련 유적과 일화 및 작품이 꾸준히 생성되어 온 것은, ‘최치원’에 대한 조선조 지식인의 인식 차에서 연유하였다. 조선조 유자들은 최치원의 행적을 문제 삼아 문묘종사에 대해 끊임없이 논란거리로 삼았지만, 지금도 그는 여전히 문묘에 모셔져 있다.
또 이러한 논란이 한창일 조선중기 불교계에서는 서산대사를 중심으로 최치원을 존숭하는 새로운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그리하여 진감선사비는 승려의 講學 자료로 사용되었고, 관련 유적에서는 그에 대한 흠모의 마음을 읊은 한시가 쏟아져 나오기도 하였다. 그리고 강우지역 지식인에게서 보이는 최치원 인식은 인조반정 이후 정계에서 멀어진 강우학자의 현실적 처지를 이입시켜 그를 통해 위안을 받는 성향이 강하였다. 지리산 유람객의 대부분이 강우지역 지식인임을 감안하면 이는 최치원 관련 지리산 한시의 주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People generation after generation have passed down stories about a good number of figures in Mt. Jiri. In general, such stories die out or get changed anew over time, but stories of Choi Chi-won(崔致遠) continued to create episodes, build new relics, and give birth to literary works in Joseon. The common rule was to add a new story to the old ones or derive one from them. It is a very peculiar phenomenon even in terms of correlations between "spaces and figure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ircumstances of Chinese poems about Choi Chi-won being "created, spread, and in coexistence" in Mt. Jiri for hundreds of years in three aspects of "authors, relics, and episodes." First, it was a common practice to write Chinese poems about Choi in Mt. Jiri between Confucian scholars(儒者) and Buddhist monks(佛者). It was not ordinary that both Confucian scholars and Buddhist monks created a number of works on the same figure for hundreds of years. In case of Choi Chi-won, it was because he was recognized both by Confucian scholars and Buddhist monks in Joseon. In the Buddhist community, in particular, many Buddhist monks in the line of Seosan Daesa(西山大師) Hyujeong(休靜) recognized him.
Secondly, there is a mixture of Choi's relics in the Mt. Jiri(智異山) zone between historical relics such as Jingamseonsabi(眞鑑禪師碑) and fictional and imaginary ones. Despite a huge difference between "fact" and "fiction," however, sightseers were moved almost the same by them as they had greater sympathy with Choi's real life than his relics at the sites. Choi was, for instance, the first figure that they held memorial service for at a Confucian shrine and one of the greatest writers that were renowned for literary distinction in Tang, but sightseers got consolation from his unfortunate life rather than these achievements. For them, the double-faced nature of his relics between "fact and fiction" did not matter at all.
Finally, more and more stories were added to relics about Choi in Mt. Jiri. The same stories of the same relics would gradually spread and become concrete in transmission or entirely new stories would be created for new relic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re were ongoing streams of relics, episodes and works about Choi Chi-won in Mt. Jiri despite a time gap of hundreds of years based on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Choi Chi-won" among intellectuals of Joseon. Confucian scholars picked issues over his past in Joseon, stirring controversy over the practice of holding religious service for him at a Confucian shrine. He is, however, still enshrined at a Confucian shrine today. In middle Joseon when the controversy peaked, the Buddhist community created a new atmosphere of revering him around Seosan Daesa. Buddhist monks thus used Jingamseonsabi as a material in the pursuit of study and created a flood of Chinese poems to depict their admiration for him at his relics. Intellectuals of the Gangwoo area showed a strong tendency of empathizing with Choi after leaving the central politics following Injo Banjeong and getting consolation from him. Given the fact that most sightseers to Mt. Jiri were intellectuals of Gangwoo area, it is one of main features of Chinese poems about Choi in Mt. Jiri.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5-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98 | 0.2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