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가 문헌에 나타난 쁘라띠야하라 수행법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주제어
KDC
91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4(24쪽)
제공처
하타요가 시대는 우빠니샤드와 고전요가 시대와 달리 육체적 수행을 강조하였다. 이런 성향은 오늘 날까지 영향을 미친다. 하타요가는 꾼달리니를 각성하여 해탈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타요가의 수행방법으로는 자세(āsana), 여섯 정화법(ṣaṭkarma), 호흡법(prāṇāyāma) 그리고 반다(bandha)·무드라(mudra)가 있다. Yogacūḍamaṇi Upaniṣad (이하 YcU)에서는 아싸나와 꿈바까를 통해 쁘라띠야하라를 설명하고, Yogatattva Upaniṣad (이하 YtU)에서도 쁘라띠야하라는 각 지분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꿈바까를 함으로써 주관적 감각기능에 대한 제어를 설명한다. Haṭhapradīpikā (이하 HP)에서는 몸속의 쁘라나를 소멸하면 마음의 작용도 함께 소멸하는 것으로 본다. 또한 뜨라따까를 통한 쁘라띠야하라 수행법은 시각적 감각을 한 곳에 정지하는 수련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신비한 소리 명상에서는 외부의 소리와 내면의 어떤 소리조차 처음부터 아무런 소리가 없었던 것처럼 집중하는 것을 쁘라띠야하라로 설명한다.
고전 우빠니샤드 시대부터 하타요가 시대에 이르기까지 쁘라띠야하라의 역할은 모든 수행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수행자가 수행의 최종목적인 삼매나 해탈에 도달하기 위해서 쁘라띠야하라는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수행법이었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각 시대마다 쁘라띠야하라의 의미는 크게 달라지지 않지만 쁘라띠야하라의 위상이나 역할은 조금씩 변화되었다. 각 시대별 문헌마다 핵심사상이나 수행의 목표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쁘라띠야하라의 위상이나 역할도 그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In the period of Haṭha yoga the physical practices were emphasized more unlike the period of Upaniṣad and classical yoga. This tendency have some effect until now. Haṭha yoga aims to reach the liberation by awakening to Kuṇḍalinī. The practices of hatha yoga are āsana, Ṣaṭkarma, prāṇāyāma and bandha·mudra. Yogacūḍamaṇi Upaniṣad explains pratyāhāra by āsana and kumbhaka. In Yogatattva Upaniṣad, pratyāhāra is included in each limbs. Yogatattva Upaniṣad also explains the control of the subjective sensory functions by doing kumbhaka. Haṭhapradīpikā considers if prāṇa dissipates in the body, the modification of mind also dissipates. The practice of pratyāhāra with trāṭaka explains the sensation of sight stops in one place. And in the mysterious sound meditation pratyāhāra is explained as a concentration like there is not any sound from the first. From the period of classical Upaniṣad to Haṭha yoga, the role of pratyāhāra deals significantly on all practices. Therefore the method of pratyāhāra is essentially required for yogi to reach the ultimate goal or liberation. In conclusion each period the meaning of pratyāhāra does not change but the role and statue of pratyāhāra has been changed gradually. The role and statue of pratyāhāra has to be changed because each period, the core idea or the goal of its practice appears differently in each literatur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