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성범죄사건의 실무적 쟁점- 영상녹화물 증거 제도와 전문심리위원 제도를 중심으로 = Study on Practical Issues of Sex Crime Trials - Concerning the Video Recording Interrogation System and the Expert-Commissioner Participation System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5-121(47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Study on Practical Issues of Sex Crime Trials- Concerning the Video Recording Interrogation Systemand the Expert-Commissioner Participation System
Hong, Jin-young·Bom, Sun-yoon
The success of a sex crime trials depends on whether it leads to a just conclusion by finding substantial truth, through a procedure ensuring the defendant's right to defense, while at the same time providing an utmost protection to the victim.
For the last ten years,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institutions to enhance the protection of victims in sex crime trials. The video recording interrogation system, in particular, is a representative institution introduced to reduce secondary victimization of victims, by minimizing repetition of their statements along the procedure. Nevertheless, even after its introduction, many victims still had to repeat their testimonies in the court, resulting in a severe emotional distress on their part. This problem is due to the fact that, in addition to the technical issues of implementation, the video recording interrogation system was legislated and implemented without fully putting in place measures to ensure the defense rights of the defendants. It contained several technical problems as well. Meanwhile, judges in charge of sex crime trials have been making efforts to ensure the defendants' rights and to judge the credibility of victims' statements prudently, by having expert-commissioners analyze victims' statements with their expertise in psychology. However, the implementation of expert-commissioner participation system too leaves room for improve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outcome of survey of judges in charge of sex crime trials in 2013, this article gives an overview of the substance and chronology of video recording interrogation system and the expert-commissioner participation system, as well as offering a review of where the systems stand and how they can be improved. The article concludes by proposing various ways to improve the video recording interrogation system along the interrogation and trial stages, including granting an opportunity to suspects to defend against victims' statements in the early investigation stage. As for the expert-commissioner's participation system, this article argues not only for recruiting more expert candidates and raising public awareness of the system, but also for an expert participation in courtrooms to avoid controversy on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성범죄재판의 성패는 피고인의 방어권을 보장하고 피해자를 최대한 보호하는 가운데 실체진실을 발견하여 정의로운 결론을 내리는 데 달려 있다.
지난 10년간 성범죄재판은 특히 피해자 보호를 더욱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여러 가지 제도적 개선을 모색하여 왔고, 특히 영상녹화물 증거 제도는 성범죄 피해자의 진술횟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성범죄로 인한 2차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도입된 대표적인 제도였다. 그러나 영상녹화물 증거 제도가 시행된 후에도 여전히 적지 않은 피해자들이 법정에 출석하여 피해 내용을 재차 증언하는 과정에서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데, 이는 제도 운영상의 실무적 문제뿐만 아니라 영상녹화물 증거 제도가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에 대한 충분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상태로 입법되어 운영되고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성폭력범죄 전담재판부에서는 전문심리위원 제도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신중히 판단하고 반대신문이 제약된 가운데서도 피고인의 방어권을 보장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전문심리위원 제도 또한 아직까지 완벽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본고는 2013년도 성폭력범죄 전담재판부에 근무한 법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영상녹화물 증거 제도 및 전문심리위원 제도의 내용과 연혁에 대하여 소개한 후, 운영 실태와 개선할 점을 점검해 보았다. 영상녹화물 증거 제도에 대하여는 수사단계에서 피의자에게 방어기회를 부여하는 방안을 비롯하여 수사 및 재판단계에서의 다양한 개선책을 제안하였다. 전문심리위원 제도에 대하여는 인력 확충과 제도의 홍보뿐만 아니라, 증거능력과 관련된 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궁극적으로 법정 내에서 전문심리위원의 참여가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2 | 0.62 | 0.7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66 | 0.898 | 0.1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