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화산체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교사들의 지질학적 시간 개념 =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Geological Time in the Context of Volcanic Landform Formation
저자
이동영 (부산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41-252(12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들이 화산체 형성과정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지질학적 시간 개념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연구는 B광역시에 소재한 P교육대학교의 과학교육과 재학생 2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참여자들은 화산 관련 수업을 이수하기 전 상태에서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은 세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화산 형성과 관련된 지질학 개념의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의 핵심 개념을 바탕으로 구성된 객관식 문항 5문항을 활용하였다. 둘째, 단기간에 형성된 멕시코 파라쿠틴 화산과 장기간에 걸쳐 형성된 하와이 마우나로아 화산의 위성 이미지 자료를 제시하고, 어느 화산이 더 오래 형성되었는지를 판단하게 한 뒤, 그 이유를 자유롭게 서술하게 하였다. 셋째, 화산체 형성과정을 시간 개념을 포함하여 설명하도록 요구하는 비정형 서술형 문항을 통해 시간 개념 적용 방식을 파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예비교사들의 지질학적 시간 인식 유형에 따라 연대기적 추론 군집(Chronological Reasoning Group)과 비과학적 추론 군집(Non-scientific Reasoning Group)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집별 응답을 바탕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주제어 기반 토픽 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연대기적 추론 군집은 침식, 풍화, 냉각, 반복 등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질학적 변화를 인식하며 화산체 형성을 설명한 반면, 비과학적 추론 군집은 화산의 색, 크기, 외형 등 직관적 인상에 기반하여 추론을 수행하였다. 또한 두 군집 간 지질학 개념 이해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Mann-Whitney U 검정 결과, 연대기적 추론 군집이 유의미하게 높은 개념 이해도를 보였다(p = .004). 마지막으로, 군집별로 지질학적 시간 관련 노드의 중심도와 연결 구조를 비교한 결과, 연대기적 추론 군집은 시간 개념이 다양한 지질학적 개념과 연결되어 있는 반면, 비과학적 추론 군집은 단일 개념(예: 형성)에만 제한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들의 지질학 개념 이해에 있어 지질학적 시간 인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하며, 시간 개념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교수설계 방안 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더보기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 volcanic landform formation and how the concept of geological time is applied in their reasoning process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28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at P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metropolitan B. None of the participants had received formal instruction on volcano-related topics prior to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three tools. First, a multiple-choice test consisting of five items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re concepts from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o assess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geological concepts related to volcano formation. Second, participants were shown satellite images of two volcanoes—Parícutin in Mexico, which formed over a short period, and Mauna Loa in Hawaii, which developed over an extended geological timespan. Participants were asked to identify which volcano had taken longer to form and provide a rationale. Third, an open-ended writing task was administered, prompting participants to explain the formation of a volcano, including temporal expressions references to geological time. Based on their reasoning regarding geological tim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clusters: the Chronological Reasoning Group and the Non-scientific Reasoning Group. A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conducted for each cluster’s responses. The Chronological Reasoning Group recognized geological changes such as erosion, weathering, cooling, and repetition over time, constructing explanations grounded in scientific indicators. In contrast, the Non-scientific Reasoning Group relied on intuitive impressions, such as color, size, and general appearance of volcanoes. A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understanding of geological concepts between the two clusters, revealing that the Chronological Reasoning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concept comprehension statistically (p = .004). Furthermore, analysis of the centrality and connectivity of temporal nodes in each group’s language network showed that the Chronological Reasoning Group linked the concept of time with a broader range of geological processes, whereas the Non-scientific Reasoning Group exhibited minimal and restricted connections, mostly limited to the concept of "forma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essential role of temporal reasoning in the understanding of geological concepts and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targeted instructional design for developing students’ conceptualization of geological time.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