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글로컬 마케팅의 두 얼굴 : 지역 서사를 활용한 한류 마케팅의 정체성 확보 = The Two Different Faces of Glocalization Marketing: Building the Identity of Korean Wave with ‘Local Narrativ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주제어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9-128(30쪽)
제공처
‘글로컬(glocal)’ 즉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은 세계화를 뜻 하는 ‘글로벌(global)’과 지역화를 뜻하는 ‘로컬(1ocal)’이 합쳐져 만들어진 용어이다. 처음에는 글로벌 기업이 ‘목표 시장의 지역적 특성이나 현지 풍토를 제품이나 서비스에 적용시키는’ 마케팅 개념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글로컬 개념은 ‘세계화(globalization)’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쓰여 왔다. 자국 시장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한 거대 자본이 해외로 눈을 돌리면서, 전 세계에서 거대한 판매고를 기록하는 글로벌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 수많은 기업들이 ‘세계화’를 부르짖었던 것이다. 그와 반대로 지역적인 특색을 살려 세계 시장을 공략하려는 지역 기업이나 지역문화의 확산 또한 ‘글로컬 마케팅’이라 부른다. 지금 ‘한류’는 문화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오히려 ‘글로컬 문화 전략’이라는 이름으로 한류의 성공을 계획하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한류는 온전히 한국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인가, 아니면 글로벌문화 자본을 흉내내어 그 장점을 가미한 일종의 전략 상품에 가까운가. 한류의 문화 전략이 그저 글로벌 기업들의 성공 사례를 본받기 위한 목적이라면, 과거 미국문화가 한국 시장을 지배했던 문화제국주의 시대의 재현에 가까울지도 모른다. 글로컬 콘덴츠들은 판매 대상 지역이 지닌 사회적, 문화적 특색을 콘텐츠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특색을 ‘지역 서사(local narrative)’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까르푸와 월마트가 한국 시장에서 철수한 것도, 마이크로소프트가 한글과 컴퓨터를 인수하려다 실패한 것도 한국 특유의 지역 서사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역 서사를 읽어내고 반영한 대표적인 콘텐츠로는 프랑스의 만화 시리즈 ‘아스테릭스’가 있다. 고유의 전통을 지키려는 움직임은 대다수 국가에 상존한다. 아스테릭스는 로마 제국에 대항한 골족 영웅들을 미화시키되 다른 문화권을 비하하지 않고 모혐의 배경과 소재로 삼는 등, 지역 서사를 활용한 대표적인 성공 사례이다. 글로컬라이제이션은 ‘글로벌 기업의 마케팅 전략’과 ‘지역 콘텐츠의 세계 시장공략’이라는 두 가지 얼굴을 지니고 있다. 한류의 성공을 위해서는 두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고 이해해서 새로운 문화콘텐츠 제작과 판매 전략을 짤 필요가 있다.
더보기The term glocal , or glocalization , is composed of two word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 This term originated from the marketing concept that global companies adapted the local or actual features of the target market and applied them to their products and services. But glocalization has been used as the way to support the globalization. As the big capitals which have been unsatisfied with the home market turned their attention to abroad, many enterprises has emphasized the globalization to build a global brand which could mark the huge sales record. On the contrary, when the local cultures or companies attack the global market by animating the local features, it can be also called glocal marketing . Now the Korean Wave not only fights to survive among the waves of cultural globalization, but it is even confident of the success by the name of glocal cultural strategy . Is the Korean wave a content fully based on original features of Korea, or a strategic product mimicking the global capital and getting its advantages? If the cultural strategy of Korean Wave is just following the success story of the global enterprises, perhaps it can be the reappearance of the American culture which has reigned the Korean market in the past. Glocal products need to reflect the social and cultural features of the target market. These features are called local narrative . The failures of Carrefour, Walmarr, and Microsoft in Korean market were due to not considering the Korea s local narrative. The excellent example that read and reflected the local narrative is the french cartoon series Asterix . In most countries, there are the movements to secure their own tradition. Asterix is a remarkable success story using the local narrative, as it beautified Gaul s heroes against the Roman Empire and used but not humbled other cultural area as the material and background of heroes adventure. Glocalization has two different faces of marketing strategy of global enterprises and attack of local content to world-wide market . It is needed to clearly understand both concepts and to devise a new strategy of producing and marketing Korea s own culture content.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