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上海 문화대혁명의 몇 가지 측면 = Several Aspects of the Cultural Revolution in Shanghai
저자
성근제 (서울시립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3-225(33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논문은 상하이 문화대혁명의 주목할 만한 특수성들에 관한 다면적 서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하이 문혁의 특수성들에 대한 서술은 문화대혁명 시기 상하이 지역의 핵심적이고 고유한 사회적 모순에 대한 이해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서기 위한 것이다. 2000년대 이후 문화대혁명에 대한 다양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 왔지만, 여전히 문화대혁명에 대한 서술에는 베이징과 상하이로 대표되는 일종의 중앙중심주의적 경향이 여전히 강하다. 중앙중심주의적 서술 경향이란 베이징과 상하이에서 전개된 문화대혁명이 일종의 보편성을 지니는 것으로 전제하는 서술태도를 가리킨다. 하지만 홍오류와 흑오류, 조반파와 보수파와 같은 보편화된 개념틀로는 문화대혁명 시기 각 지역에서 일어난 충돌과 갈등을 배태시킨 모순의 구체성에 다가가기 어렵다. 때문에 문화대혁명에 대한 서사는 각 지역의 고유한 모순에 대한 해명을 중심으로 재서술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 논문은 바로 문화대혁명에 대한 지역적 접근을 위한 시도의 일환이다.
상하이 문화대혁명에 대한 연구는 꽤 다양한 형태로 축적되어 있다. 상하이의 문혁에 관한 가장 이른 기록이라 할 수 있는 Hunter의 Shanghai Journal부터 가장 방대한 기록이라 할 수 있는 리쉰(李逊)의 革命造反年代:上海文革運動史稿에 이르기까지 풍부한 기록과 연구가 제공되어 있다. 이 기록과 연구들은 상하이에서 진행된 문화대혁명에 대한 매우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사실들을 전해주고 있지만, 상하이의 문화대혁명을 베이징이나 다른 지역의 문화대혁명과 상대화시킴으로써 상하이 문화대혁명의 고유성과 그 갈등 속에 내재된 모순의 특수성을 드러내 보여주지는 않는다. 이 논문은 이제까지 공식적으로 출간된 상하이 문화대혁명에 관한 기본적인 성과물들에 더해 몇 가지 비공식 출판물과 기록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상하이 문화대혁명의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특수성을 드러낼 것이며, 이를 통해 베이징이나 상하이의 경험이나 사실들을 중심으로 중국 기타 지역의 문화대혁명을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무모한 일인가를 보여주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multifaceted description of the notable specificities of the Shanghai Cultural Revolution.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ities of the Shanghai Cultural Revolution is intended to bring us a little closer to understanding the core and unique social contradictions of the Shanghai region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Since the 2000s, various research achievements on the Cultural Revolution have been accumulated, but there is still a strong tendency for a kind of centralism in the descript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 represented by Beijing and Shanghai. The term “centralism” refers to a narrative attitude that assumes that the Cultural Revolution that unfolded in Beijing and Shanghai has some kind of universal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roach the specific nature of the contradictions that gave rise to the conflicts and clashes that took place in each region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using the universalized conceptual frameworks such as ‘紅五類 vs 黑五類’and ‘造反派 vs 保守派’. Therefore, the narrative of the Cultural Revolution needs to be rewritten with a focus on explaining the unique contradictions of each region, and this paper is part of an attempt to take a regional approach to the Cultural Revolution.
Research on the Shanghai Cultural Revolution has been accumulated in a wide variety of forms. From Hunter's Shanghai Journal, which is the earliest record of the Cultural Revolution in Shanghai, to Li Xun(李遜)’s 革命造反年代: 上海文革運動史稿, which is the most extensive record, a wealth of records and research have been provided. These records and studies provide very concrete and individual facts about the Cultural Revolution in Shanghai, but they do not reveal the uniqueness of the Cultural Revolution in Shanghai and the specificity of the contradictions inherent in the conflicts by comparing the Cultural Revolution in Shanghai with the Cultural Revolution in Beijing or other regions. This paper will reveal some of the notable specificities of the Shanghai Cultural Revolution through a review of several unofficial publications and records in addition to the basic achievements on the Cultural Revolution in Shanghai that have been officially published so far, and thereby show how reckless it is to understand the Cultural Revolution in other parts of China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facts of Beijing or Shanghai.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