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관계성 관점에서 읽는 『호밀밭의 파수꾼』 = Reading The Catcher in the Rye With a View of Relational Theory
저자
윤소영 (건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3-219(27쪽)
제공처
이 글은 청소년 소설의 대표격인 『호밀밭의 파수꾼』을 관계성 관점에서 새롭게 읽는 것이다. 퇴학 위기에 처한 주인공 홀든이 집에 가기 전 3 일간을 뉴욕에서 보내면서 겪게 되는 다양한 인간관계를 통해 스스로에대한 인식을 높이게 되었다는 점에 착안해 관계성 이론에 입각해 작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관계에 따른 역할 등이 중요한 의미를 띠는 바, 어떤 상황이나 사건이발생했을 때 헤겔의 정-반-합의 원칙을 적용해 홀든의 성장일기를 추적해보려 했다. 학교에서의 관계를 우선 살펴보면, 홀든은 선생님들과 좋은 관계를 맺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선생들의 왜곡된 시각,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한 부족한 면모 등 홀든에게 좋은 영향을 끼치기 어려운점이었다. 또한 친구들과의 관계를 살펴볼 때, 홀든을 괴롭히는 스트라드레이터는 자신의 글쓰기 숙제를 대신하도록 종용할 정도였고, 애클리는 정신적 교감을 이루기에는 부족함이 많은 친구였다. 특히 호텔에서만난 모리스와 써니는 돈을 착취하고, 폭력까지 행사한 부류로, 인생에서 만나지 않아도 될 존재들이라 할 만큼 밑바닥 인생을 살고 있는 추악한 대상이라 할 수 있을 정도다. 그러한 여러 고비를 넘기며, 여동생 피비를 찾아간 홀든은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지향점이 곧 “호밀밭을 지나다 누군가를 만나게 되면” 절벽에서 떨어지지 않게 붙잡아주는 파수꾼이 되는 것임을 알게 된다. 아이들의 순수함을 지켜주는 파수꾼이 되고 싶다는 목표지향점을 확인하는 것이 홀든에게 얼마나 큰 의미인가를 남긴다
The Catcher in the Rye written by J.D.Salinger is the most widely adopted young adult literature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many countries, as a representative literature. This novel is one of salient sources for examining the meanings of relatedness and role relationships.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carefully examine the various relationships the protagonist forms at school and within the family to see how these relationships contribute to the protagonist's growth and inner maturity.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results of the protagonist's three day rebellious journey an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s with the members of the surrounding society on the protagonist’s growth and change of consciousness. Like relatioships with friends, even in his relationship with his teacher, there is no solid relationship that shows that he has not met a trustworthy adult. The most meaningful relationship for the protagonist is located in his family relationships, revealing the bond between brother Allie and sister Phoebe. In this context, this study tried to examine how to interpret the mirror image and ideal self-image represented and realized through role relationship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