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소음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난청 유소견 근로자들의 소음성난청에 대한 인식 및 태도 =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the Noise-Induced Hearing Loss of the Workers with Hearing Impairment in the Noisy Workpla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6
작성언어
Korean
KDC
51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5-118(14쪽)
제공처
소장기관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rvey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the 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 of the workers with hearing impairment who are working at the noisy workplaces. The subjects were 423 workers selected from noisy workplaces, where the noise level was 85dB and over, and whose hearing impairment was 30dB and over at 1,000 Hz or 40 dB and over at 4,000 Hz in the primary screening auditory test.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the study subjects studying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the noise-induced hearing loss including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Only 379 work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sincerely except 18 workers who did not show hearing impairment,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status of hearing impairment: noise-induced hearing loss (D₁), suspected hearing loss (C), hearing loss with medical reasons (D₂), for their comparison of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the noise-induced hearing loss.
The workers who took auditory test at employment were 47.8% and who took auditory test last year after employment were 76.8%. The workers who put on protection device after the test in 77.1%. The workers did not know the fact that they would work at the noisy workplace in 31.9%. The disturbance of daily communication is significantly different symtom among 3 groups (p<0.01). The workers answered that noise did not affect the body adversely in 4.7% and NIHL was not problem if it did not disturb daily life in 31.9%.
In case they were diagnosed as NIHL, 68.6%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would put on protection devices throughly and 20.8% answered that they would ask for medical care. And 39.3% of them answered that they would want to stay at their present workplaces even though they were ordered to change their workplaces to the another less noisy workplaces. The protection of right answer in the article related NIHL was 61.2% in average.
For the protection of NIHL, an effective hearing conserv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the labor working in the noisy workplace.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