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공급업체 관리에 있어서 구매-공급 담당자 간 신뢰수준의 역할에 관한 실증 연구 = Empirical Study on Role of Trust Level between Purchasing and Supply Managers in 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 Focus on Companion Animal Food & Supplies Indust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주제어
KDC
32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9-109(21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구매자-공급자 간 신뢰수준에 관한 요소들을 담당자 계층을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담당자 간 신뢰수준과 사업성과의 결정 요인들을 실증 분석하여 두 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두 변수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경영자 간 신뢰수준과 담당자 간 신뢰수준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하였으며, 경영자 간 신뢰수준이 담당자 간 신뢰수준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의 영향력이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논문구성/논리: 담당자 간 신뢰수준과 사업성과에 영향을 주는 결정 요인들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반려동물 사료/용품 산업에 종사하는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담당자 간 신뢰수준과 사업성과 그리고 두 변수에 영향을 주는 결정 요인들을 측정하였다. 변수들의 측정치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신뢰수준과 사업성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에 대한 영향력을 검정하였다.
결과: 담당자 간의 접촉빈도, 담당자 간의 이슈 대응 업무지원 수준, 담당자 간의 정보교류 수준 그리고 경영자의 담당자 간 신뢰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담당자 간 신뢰수준에 긍정의 영향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경영자 간 신뢰수준이 담당자 간 신뢰수준에 긍정의 영향력이 있다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사업성과에 대한 담당자 간 신뢰수준은 매우 높은 긍정적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담당자 간 이슈 대응 업무지원 수준과 경영자 간 신뢰수준 역시 사업성과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담당자 간 접촉빈도나 담당자 간 정보교류 수준 그리고 경영자의 담당자 간 신뢰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사업성과에 대한 긍정의 영향력이 지지되지 않았다. 사업성과에 공히 긍정적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던 담당자 간 신뢰수준과 경영자 간 신뢰수준 중에는 담당자 간 신뢰수준이 더 큰 영향력이 있었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는 지금까지 신뢰에 관한 실증연구가 부족했던 산업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해당 산업으로의 연구영역 확대라는 점과 담당자 차원을 중심으로 진행된 신뢰수준에 대한 계층별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담당자 간 신뢰수준은 경영자의 관심과 노력으로 개발될 수 있다는 결과는 경영자들이 기업 간 신뢰수준 향상을 위해 담당자 간 신뢰수준에 관심을 두고,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적극적으로 강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는 점을 일깨워 준다.
Purpose: The research empiricall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that determine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It also compared the influence of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and between executive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Further study was done to see if any directional influence on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correlates with the level of trust between executives.
Composition/Logic: This study established a hypothesis about the determinants that affect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Then It measured two variables and the determinants that affect them through a survey of managers in the pet food/supplies industry. Using the measurements of variables, the influence of variables that affect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was test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contact between managers, the work support level between managers, the level of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managers and the executives’ efforts to increase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However, the hypothesis that the level of trust between executives has an influence on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was not supported. The positive influence that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had on the business performance turned out to be very strong. Furthermore, the result showed that the work support level between managers and the level of trust between executives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business performance. In contrast,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business performance from the frequency of contact between managers, the level of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managers and the executives’ efforts to increase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was not supported. Despite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and the level of trust between executives both having a positive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had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riginality/Valu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been conducted on industries that have lacked empirical research on trust, thereby expanding the research area to a new industry.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by specific class, because the survey focused on a manager level. In addition, acknowledging the research results that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can be enhanced through the effort of executives, executives should pay attention to, periodically check, and actively strengthen the level of trust between managers to improve the level of trust of compani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