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하트의 내적 관점이란 무엇인가? = What is Hart’s Internal Point of View?
저자
김건우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3-142(30쪽)
KCI 피인용횟수
8
제공처
하트 법이론에서 ‘내적 관점(internal point of view)’이라는 개념은 단순명쾌하게 해명되지 않으며, 그 자체로 “애매하고 복합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내적 관점을 해명하는 데에 흔히 사용되는 ‘내부자의 관점’, ‘참여자의 관점’, ‘실행자의 관점’과 같은 잠재적 분석항의 경우, 각각 그 자체로 내적 관점의 중요한 일면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유용할지라도, 그것 단독으로 온전한 분석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여기에는 내적 관점 개념의 중핵이라 할 ‘규칙 수용’에 대한 정교한 해명이 추가되어야 한다. 이에, 하트는 ‘규칙 수용’에 대한 일정한 해명을 제공함으로써 내적 관점의 애매성과 복합성을 완화시키고 있다. 비록 ‘규칙 수용’의 의의에 대해 여전히 중요한 해명의 여지가 남아 있기는 하지만 말이다.
뿐만 아니라, 하트의 법이론 상에서 내적 관점은 “이중적인” 역할을 한다. 일차적으로, 내적 관점은 수범자(subjects)라는 실천적 행위주체가 법규칙을 수용하는 태도를 반영한다. 이차적으로, 내적 관점은 이론적 관심과 목표를 가진 법이론가가 법적 실제를 관찰하고 기술하는 태도에도 필수적으로 관여하며, 그 결과 소위 해석학적 관점을 가능케 한다.
‘The internal point of view’ in Hart's legal theory is a fairly ambiguous and complex concept that does not allow a simple and straightforward explication. Thus, as for the potential analysans often used to explicate the concept, such as ‘insider's point of view’, ‘participant's point of view’, ‘practicioner’s point of view’, each of them alone does not provide a sound analysis of the analysandum (‘internal point of view’) although they are all very useful as such. Therefore, a sophisticated explication of ‘rule acceptance’, a core element of the analysandum, needs to accompany the analysis in question. Regarding this requirement, Hart offers an available, if not fully clear, explication of ‘rule acceptance’, thereby mitigating the ambiguity and complexity of the analysandum.
In addition, ‘the internal point of view’ plays a double role in Hart's legal theory. On the one hand, it reflects the attitude of the subjects as practical agencies toward their acceptance of the legal rules. On the other, it necessarily is involved in and thus makes possible the so-called hermeneutic point of view, i.e., a perspective employed by legal theorists having a theoretical as opposed to practical concern and goal to observe and describe the legal practic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5-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 Korean Journal of Legal Philosophy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7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4 | 1.024 | 0.1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