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정지용과 대망서 고향시에 대한 비교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EOMUNNONCHONG, THE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7-291(35쪽)
제공처
하이데거가 시인의 천직은 환향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고향 콤플렉스는 인간이 고향을 향한 무의식적인 강렬한 정감이다. 고향 주제는 1930년대 한 · 중 현대시의 가장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이며, 이 시기의 고향시는 두 나라 현대시의 발전에 대해 아주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비록 같은 고향을 대상으로 쓴 시라 하더라도 국가별, 개인별 차이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시인이 처하고 있는 자연 경관이나 역사적 · 문화적 배경, 그리고 인생 체험 등 개인적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비교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고는 한 · 중 두 나라 1930년대 대표 시인 정지용과 대망서의 고향시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시에 나타난 고향 공간과 고향 의식을 비교함으로써 두 시인 고향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고자 한다.
시에 나타난 고향 공간에 있어서 도시에 살고 있던 정지용과 대망서는 모두 과거 고향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고향을 아무 고통 없는 유토피아로 그려내면서 짙은 향수와 강한 환향 의식을 표현하고 있다. 도시 생활에서 소외감과 외로움을 느낀 당대 지식인들에게 고향은 탈역사적인 유토피아이며 이상세계이다. 또한 근대와 전근대가 충돌하는 공간으로서 도시와 고향을 구분하는 사고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본고는 두 시인 작품에 나타난 고향 의식의 변모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두 시인은 유토피아적 의미를 상실한 고향의 현실과 고달픔을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인식하게 된다. 정지용 시에 나타난 고향 의식은 일제강점기의 식민지 현실에서 기인하는 고향상실감이며, 대망서 시에 나타난 고향 의식은 국민혁민 실패 이후의 혼란스러운 사회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방락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두 시인 시에 나타난 고향 의식의 변모는 모두 암흑 시대의 현실에서 기인하던 것이다. 또한 두 시인의 고향시는 이미지의 선택이나 미각화적 수법 등에도 큰 유사성이 있다.
두 시인에 대한 기존의 비교연구는 모두 한국 연구자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이 과제는 더 많은 중국 연구자의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가 부족하나마 향후 관련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artin Heidegger once said, it is a bounden duty for a poet to express homesickness. As a concrete manifestation of human complex, the hometown complex is people’s powerful feeling to their hometown. “Hometown” can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theme of Chinese and South Korean poems in the 1930s, during which the hometown poem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poems in both countries. Likewise, the poems are themed by hometown, but there are still great differences in the hometown poems of China and South Korea, resulting from the country environment and poets’ life experience and writing techniques, which is exactly the reason and necessity of this comparative study. Taking the hometown poems of representative poets Dai Wangshu and Jeong Jiyong in the 1930s as the object of study, this paper explores the common traits and difference of their poems from such two aspects as hometown space and hometown complex with the research method of parallel comparison.
With regard to the hometown space in poems, both Dai Wangshu and Jeong Jiyong living in city describe their hometowns as a Utopia without any pain based on their memories of childhood hometown, and meanwhile express their strong nostalgia and intense homecoming consciousness. Due to the suffering by loneliness and torment in city life, they regard their hometown-countryside as a fictitious land of peace opposite to city, and seek for the psychological comfort therefrom. Then, this paper takes a comparative study to the hometown complex embodied in these two poets’ hometown poems, and meanwhile analyzes the reason of changes of hometown complex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social reality. The hometown complex of Jeong Jiyong derived from the feeling of hometown loss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while the hometown complex of Dai Wangshu is the vagrant consciousness of attempting to escape the chaotic social environment after the failure of Great Revolution. Besides, there are many common traits and differences in the acceptance to imagism and poems’ creative techniques, etc.
At present, the subject of comparative study to Dai Wangshu and Jeong Jiyong is almost researched by Korean researchers, thus we are expecting attentions to this subject from more and more Chinese researchers. Although there are many shortcomings in this research achievement, the certain reference meaning can be expected to the follow-up studi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