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에서의 하이에크 이론의 확산 과정 = Diffusion Process of Hayek’s Idea in Korea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이 논문은 하이에크 이론이 한국에서 확산되어 가는 양상 및 그러한 확산을 가능케 한 요인들을 탐구 하였다. 첫째, 초기의 하이에크 연구는 주로 케인즈주의자 경제학자들의 지적 호기심에서 시작되었으며 1990년대 중반~2001년에 가장 활발히 하이에크 저서가 확산되었다. 그 후 현재에는 조정 및 성숙기 에 이르러 있지만 하이에크에 집중한 단행본의 발행은 오히려 위축되고 있다. 둘째, 국내학자들 논문 131편을 분석한 결과 하이에크의 책 중 Individualism and Economic Order 를 가장 많이 인용한다. 그러나 3부작이지만 하나의 전집으로 보아도 무방한 Law, Legislation and Liberty-Ⅰ,Ⅱ,Ⅲ를 하나로 본다면 이것이 오히려 더 중시되는 하이에크의 문헌이다. Studies in Philosophy, Politics, Economics, Road to Serfdom, The Constitution of Liberty, Fatal Conceit이 그 다음 순서이다. 셋째, 국내 학자의 저서로는 민경국의『하이에크 자유의 길』,『진화냐 창조냐』,『헌법경제론』 등 의 순서로 많이 인용된다. 민경국 교수는 국내 학자들의 저서의 가장 중요한 인용자이면서 동시에 가장 중요한 피인용자이다. 넷째, 하이에크의 이론 체계를 인식론 및 방법론, 시장과정, 분권화된 지식, 사회주의 비판, 정치 및 법 질서, 경제이론, 한국의 현실정책 대안, 기타로 8대분 하면, 국내 연구들은‘시장질서’-‘정치질 서·법질서’연구에 치중한다. 경제이론 분야는 큰 관심을 받지 못했으며, 현실 정책에 대한 처방을 제 시하는 기능은 취약하다. 다섯째, 한국 하이에크 소사이어티 형성은 하이에크가 개인의 관심을 넘어 학문 공동체(science community)의 연구 테제가 되었음을 의미하는데 이 창설에 기여한 소수의 학문적 창업가(academic entrepreneur), 특히 민경국 교수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

    더보기
    • 한글초록
    • Ⅰ. 서론
    • Ⅱ. 하이에크의 방법론적 특징
    • Ⅲ. 하이에크에 관한 국내 학자들의 연구의 정향
    • Ⅳ. 하이에크 연구의 학문 공동체
    • Ⅴ. 결어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 1 신인석, "화폐금융제도에서 공적기구의 역할에 대한 견해 차이는 왜 발생하는가?- 하이에크(Hayek)와 프리드만(Friedman)의 경우 -" 한국개발연구원 27 (27): 1-44, 2005
    • 2 배진영, "홉스의 사회계약론에 함축된 정부의 역할과 시장경제질서" 한독경상학회 27 (27): 1-27, 2009
    • 3 박병형, "현대오지리학파 경제학: 방법론과 시장과정" 1 : 105-143, 1983
    • 4 안청시, "현대 정치경제학의 주요 이론가들: 하이에크·폴라니·그람시·무어·슘페터·다운즈·허쉬만·노스·월러스틴" 아카넷 2003
    • 5 민경국, "헌법주의의 관점에서 본 한국헌법 -경제관련 헌법조항을 중심으로-"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5 (15): 147-176, 2009
    • 6 민경국, "헌법경제론: 진화론적 자유주의 시각에서 본 계약론적 입헌주의" 강원대출판부 1993
    • 7 임일섭, "행동규칙과 자생적 시장질서: 하이에크의 경제적 방법론과 시장이론" 자유기업센터 2000
    • 8 황준성, "한국 시장경제에서 하이에키안 자유주의와 오이케니안 자유주의의 비교" 한국질서경제학회 9 (9): 23-45, 2006
    • 9 이지순, "하이예크의 정치경제사상" 39 (39): 169-189, 1993
    • 10 박흥기, "하이예크의 정의론과 사회정책적 함축" 22 (22): 155-192, 1999
    • 11 조승래, "하이예크의 자유론" 26-, 2008
    • 12 조 순, "하이예크의 사회과학방법론" 5 (5): 17-27, 1986
    • 13 권춘식, "하이예크의 불황 및 화폐정책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16 (16): 409-425, 1988
    • 14 이재율, "하이예크의 경기변동이론에 관한 연구" 17 : 209-224, 1984
    • 15 박상수, "하이예크의 개인적 자유에 관한 일고찰" 11 : 321-333, 1996
    • 16 김정래, "하이예크의 ‘경쟁’과 교육" 1 : 117-144, 2009
    • 17 안석교, "하이예크에 있어서 질서의 유형과 경제체제" 15 (15): 49-64, 1994
    • 18 박우희, "하이예크: 그의 경제 이론과 사회 인식" 7 (7): 160-184, 1983
    • 19 박우희, "하이예크" 유풍출판사 1987
    • 20 박정수, "하이엑과 시장사회주의" 11 : 61-91, 2002
    • 21 김 균, "하이에크의 화폐사상" 34 (34): 289-309, 1995
    • 22 김용재, "하이에크의 화폐경제 이론에 있어서 시제균형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23 (23): 1813-1835, 2010
    • 23 민경국, "하이에크의 헌법주의와 한국헌법 개정논의"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5 (15): 93-122, 2009
    • 24 민경국, "하이에크의 헌법경제학과 그것이 한국헌법에 주는 시사점" 한국비교경제학회 15 (15): 33-73, 2008
    • 25 이용훈, "하이에크의 행동규칙과 자생적 질서 이론에 관한 연구"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2 (12): 179-196, 2009
    • 26 민경국, "하이에크의 진화론적 법경제학" 1 : 216-250, 1998
    • 27 김이석, "하이에크의 지식의 문제와 규칙을 따르는 행위" 1 (1): 53-84, 2007
    • 28 박상수, "하이에크의 정치 철학에 대한 비판적 검토" 3 : 176-197, 2000
    • 29 조형우, "하이에크의 자유주의에 있어서의 경쟁과 지식" 7 : 285-317, 2001
    • 30 이태화, "하이에크의 자유주의 경제질서에 관한 연구"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2 (12): 197-216, 2009
    • 31 이재율, "하이에크의 자유와 사회정의" 21 (21): 29-45, 2003
    • 32 이호영, "하이에크의 자유시장경제론에 관한 연구" 6 : 199-211, 1988
    • 33 박상수, "하이에크의 자유, 민주주의 및 윤리학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 213-232, 1999
    • 34 조필규, "하이에크의 자생적 질서와 협조적 행위규칙" 경제연구소 20 (20): 187-212, 2013
    • 35 정기문, "하이에크의 자생적 질서에 대해서" 7 (7): 17-26, 1997
    • 36 박상수, "하이에크의 자본과 이자율 이론에 관한 연구" 137-159, 1985
    • 37 박상수, "하이에크의 자발적 사회질서에 관한 일고찰" 제주대 33 (33): 327-344, 1991
    • 38 박상수, "하이에크의 시장질서와 경쟁에 관한 고찰" 10 : 53-62, 1996
    • 39 김 균, "하이에크의 시장질서론" 7 : 297-315, 1994
    • 40 임일섭, "하이에크의 사회존재론과 사회과학방법론" 11 : 135-165, 1998
    • 41 김완진, "하이에크의 사회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39 (39): 413-427, 2000
    • 42 고재철, "하이에크의 경제학 방법론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9 (9): 230-246, 2008
    • 43 박도영, "하이에크의 경쟁통화제도" 2 : 34-61, 1998
    • 44 권기철, "하이에크의 경기순환이론 및 균형 개념" 10 : 675-585, 1992
    • 45 안석교, "하이에크와 오이켄의 자유주의 사상에 대한 비교연구" 24 (24): 243-256, 2003
    • 46 좌승희, "하이에크연구" 민음사 101-121, 1995
    • 47 김균, "하이에크는 자연주의자인가" 한국사회경제학회 37 (37): 9-38, 2011
    • 48 이한구, "하이에크나 케인즈 이외에 다른 길은 없는가?" 80 : 6-22, 2009
    • 49 이상수, "하이에크, 자유의 투사인가? 독재자의 앞잡이인가?" 민주법학연구회 334-363, 2001
    • 50 민경국, "하이에크, 자유의 길:하이에크의 자유주의 사상 연구" 한울아카데미 2007
    • 51 김일만, "하이에크(Hayek)의 지식과 시장경제" 17 : 1-16, 2004
    • 52 박성쾌, "하이에크(Hayek)의 자생적 질서와 수산규제개혁" 29 (29): 47-64, 1998
    • 53 이정길, "하이에크(Hayek)의 경제사상에 대한 한 기독교적 고찰 : 인간이해와 시장질서론을 중심으로" 기독교학문연구회 16 (16): 173-199, 2011
    • 54 이태화, "하이에크 화폐이론의 비교분석"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9 (9): 243-258, 2008
    • 55 민경국, "하이에크 이야기-Ⅰ, Ⅱ" 자유기업센터 1997
    • 56 박흥기, "하이에크 연구" 민음사 282-307, 1995
    • 57 박흥기, "하이에크 연구" 민음사 1995
    • 58 박흥기, "하이에크 연구" 민음사 245-281, 1995
    • 59 박흥기, "하이에크 연구" 민음사 195-242, 1999
    • 60 민경국, "하이에크 신자유주의 그리고 경제민주화" (가을) : 27-46, 2012
    • 61 현진권, "하이에크 관점에서 본 종합부동산세제의 위헌성" 591-613, 2012
    • 62 이화여대 통역번역연구소,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아산정책연구원 2013
    • 63 유정환, "프리드리히 A. 하이예크(Friedrich A. Hayek)의 정치사상에 관한소고" 청주대학교 5 : 227-243, 1988
    • 64 박영수, "프라이부르크학파 질서정책적 개혁구상과 하이에크의 문화적 진화론과의 양립가능성" 9 (9): 105-130, 2001
    • 65 민경국, "프라이부르크 학파의 형성배경과 법경제학적 사상" 37 (37): 433-452, 1998
    • 66 박영수, "프라이부르크 학파와 하이에크" 동아대 17-41, 2007
    • 67 박영수, "프라이부르크 학파 질서정책적 개혁 구상과 하이에크의 문화적 진화론의 양립가능성" 9 (9): 105-130, 2001
    • 68 민경국, "포퍼를 괴롭히는 하이에크" 보험법연구회 52 (52): 229-245, 2002
    • 69 하수정, "팔메, 합의주의의 한계를 넘어선 지도자" 역사문제연구소 102 (102): 188-209, 2013
    • 70 이호영, "케인즈-하이에크 논쟁의 현대적 의의" 11 : 19-34, 1994
    • 71 황재홍, "케인즈 체계와 내생화폐이론의 부조화" 한국사회경제학회 24 (24): 293-319, 2005
    • 72 이호영, "케인즈 경제학의 방법론적 한계와 하이에크의 구조적 학제적 접근" 12 : 39-52, 1995
    • 73 박종현, "케인즈 & 하이에크: 시장경제를 위한 진실게임" 김영사 2008
    • 74 김홍식, "케인스 하이에크: 세계 경제와 정치 지형을 바꾼 세기의 대격돌" 부키 2014
    • 75 김행범, "집합적 행위의 행정문제에 있어서 ‘Tit-For-Tat' 전략과 그 안정성에관한 연구 집합적 행위의 행정문제에 있어서 ‘Tit-For-Tat' 전략과 그 안정성에 관한 연구: Tit-For-Tat' Strategy and the Implication of CSS, ESS" 11 (11): 311-340, 2000
    • 76 민경국, "질서정책에 관한 뷰캐난의 사회계약이론: 사회계약이론의 분석과한계" 4 : 64-84, 1986
    • 77 민경국, "질서경제학적 시각에서 본 글로벌 금융위기" 한독경상학회 27 (27): 69-92, 2009
    • 78 민경국, "질서경제학의 위상과 과제" 한국질서경제학회 1 (1): 25-59, 1997
    • 79 민경국, "진화적 인식론의 관점에서 본 사유재산권" 한국비교경제학회 13 (13): 1-41, 2006
    • 80 민경국, "진화냐 창조냐: 프리드리히 A. 하이에크의 진화론적 자유주의 사회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6
    • 81 김호균, "지식경제의 제도경제학적 정초" 한독경상학회 37 : 57-88, 2006
    • 82 김윤상, "지공주의(地公主義)를 옹호한다-자유주의자의 비판에 대한 반비판" 역사문제연구소 72 (72): 140-169, 2005
    • 83 민경국, "전후 독일의 질서이론의 역사적 전개과정" 10 : 1-31, 1992
    • 84 신중섭, "자유주의의 철학적 기초" 9 (9): 209-226, 1999
    • 85 민경국, "자유주의의 지혜" 아카넷 2007
    • 86 민경국, "자유주의의 구성원리에 관한 하이에크의 사상: 하이에크의 탄생100 주년을 기념하면서" 19 : 125-155, 1999
    • 87 민경국, "자유주의와 시장경제" 위즈비즈 2003
    • 88 안준홍, "자유주의와 법치주의의 만남 ―하이에크의 경우―" 인간학연구소 (26) : 169-202, 2014
    • 89 민경국, "자유주의에 비춰 본 보수주의" 한국제도∙경제학회 8 (8): 11-45, 2014
    • 90 민경국, "자유주의 이념에 비춰본 1980년대 서구의 개혁정책" 한국제도∙경제학회 6 (6): 19-55, 2012
    • 91 민경국, "자유주의 사회통합과 간섭주의 사회통합" 3 : 25-40, 2013
    • 92 박명광, "자유주의 사회철학에 근거한 하이에크(「자본주의냐, 사회주의냐」F. A. V. 하이에크 저/민경국 편역, 문예출판사 발행)" 10 (10): 224-231, 1990
    • 93 박영수, "자유주의 경제사관에 나타나는 인간상과 제도" 서울대경제연구소 43 (43): 519-539, 2004
    • 94 민경국, "자유와 책임에 관한 인식 : 신경과학과 하이에크" 한국과학철학회 14 (14): 97-119, 2011
    • 95 민경국, "자유시장경제를 위한 헌법발전의 방향" 91-140, 2008
    • 96 민경국, "자유시장경제를 위한 경제관련 헌법 개정 방향" 1 (1): 71-120, 2008
    • 97 민경국, "자유사회와 정치질서: 제한적 민주주의" 한국제도∙경제학회 7 (7): 11-32, 2013
    • 98 신중섭, "자생적 질서와 도덕" 새한철학회 68 (68): 343-364, 2012
    • 99 민경국, "자생적 질서, 법, 그리고 법치주의" 한국제도∙경제학회 61 (61): 21-60, 2012
    • 100 민경국, "자본주의냐, 사회주의냐" 문예출판사 1990
    • 101 이 철, "자본주의 위기에 관한 견해의 비교 고찰: 마르크스에서 하이예크까지" 18 (18): 111-133, 2006
    • 102 전용덕, "우리사회의 반자본주의: 원인, 결과, 대책" 1 : 73-116, 2009
    • 103 박장환, "오스트리아학파 방법론의 성격과 발전과정 : 멩거와 미제스/하이예크간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경북대 26 (26): 43-61, 1998
    • 104 박성호, "오스트리아 학파의 신용 및 경기변동에 관한 고찰" 한국전문경영인학회 7 (7): 187-204, 2004
    • 105 배진영, "오스트리아 학파의 시각에서 본 시장경쟁질서에서 경쟁과 독점의 의미" 한국질서경제학회 11 (11): 25-44, 2008
    • 106 민경국, "오스트리아 학파의 관점에서 본 뷰캐넌의 법이론" 1 (1): 53-70, 2013
    • 107 유건우, "오스트리아 학파의 경기변동이론 : 하이예크의 소론을 중심으로" 5 : 91-106, 1987
    • 108 이웅희, "오스트리아 자유주의 경제사상과 경영전략" 한국전략경영학회 13 (13): 73-107, 2010
    • 109 박우룡, "영국 뉴 라이트(The New Right)의 이념적 한계 -하이에크의 ‘자생적 질서’와 자유시장 이론의 현실적용의 문제점-" 대구사학회 93 : 203-239, 2008
    • 110 신중섭, "역사에는 의미가 있는가 - K. R. Popper의 역사법칙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8 : 5-26, 1983
    • 111 서유석, "역사 철학의 종말?: ‘이성의 간지’ 개념 재조명" 11 : 227-240, 2000
    • 112 오상근, "양차 대전 기간 동안의 화폐이론에 관한 연구" 동아대 10 : 159-203, 1985
    • 113 민경국, "애덤 스미스, 마르크스, 하이에크… 51명의 경제학자와 떠나는 경제사상사 여행" 21세기북스 2014
    • 114 권기철, "아담 스미스의 자본주의론과 자본주의의 정당화" 한국경제통상학회 11 (11): 1-11, 2002
    • 115 민경국, "신정치경제학" 석정 1993
    • 116 나종석, "신자유주의적 시장 유토피아에 대한 비판 - 시장주의를 넘어 민주적 공공성의 재구축에로 -"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8) : 187-216, 2009
    • 117 정순훈, "신자유주의와 우리 헌법상의 경제조항: 하이에크의 사상을 중심으로" 27 (27): 13-31, 1999
    • 118 곽노완, "신자유주의와 실질적 자유지상주의의 경제철학 - 하이에크의 시장중심주의와 판 빠레이스의 기본소득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8) : 1-32, 2009
    • 119 강용기, "신자유주의와 사회과학 이론" 13 (13): 155-169, 2003
    • 120 이근식, "신자유주의: 하이에크·프리드먼·뷰캐넌" 기파랑 2009
    • 121 민경국, "신자유주의 이념의 역사적 기원과 공공정책의 어젠다" 한국제도∙경제학회 5 (5): 51-97, 2011
    • 122 진관훈, "신자유주의 경제이론과 경제교육의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163-187, 2004
    • 123 권춘식, "신오스트리아 학파의 불황론-특히 하이예크의 논의를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3 : 5-24, 1988
    • 124 민경국, "신고전파와 오스트리아학파 비교: 왜 오스트리아 학파인가?" 3 (3): 47-72, 2009
    • 125 최훈, "신경 과학과 자유 의지 논쟁 바로 보기" 한국과학철학회 16 (16): 181-197, 2013
    • 126 민경국, "시장질서정책과 민주주의" 1 : 7-33, 1998
    • 127 최준호, "시장질서와 경제적 합리성: 하이에크의 논의를 중심으로" 철학연구소 29 (29): 105-130, 2005
    • 128 민경국, "시장에 대한 철학적 성찰에 대한 경제학적 성찰" 82 : 149-160, 2009
    • 129 민경국, "시장경제의 법과 질서" 자유기업센터 1997
    • 130 이호영, "시장경제원리와 정부 기능의 재검토: 하이에크의 시장질서론을 중심으로" 10 : 1-23, 1993
    • 131 민경국, "시장경제에 대한 공동체주의적 비판과 공동체주의적 경제질서" 17 : 67-113, 1998
    • 132 이종흡,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와 자본주의적 사회 질서" 영국사학회 10 : 169-203, 2003
    • 133 이종흡,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자본주의, 신자유주의" 46 (46): 245-264, 2001
    • 134 주노종, "세계화시대의 경제적 정의와 공정사회의 고찰"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7 (7): 145-164, 2012
    • 135 서병훈, "서구 자유주의의 기원과 특성" 사회과학연구소 38 (38): 23-39, 2007
    • 136 민경국, "사회적 시장경제의 실패가 사회철학에 주는 의미" 73 : 119-132, 2007
    • 137 민경국, "사회적 시장경제의 실패가 사회철학에 주는 의미" 철학연구회 78 (78): 117-136, 2007
    • 138 민경국, "사회적 시장경제와 헌법적 현실" 5 : 35-74, 1994
    • 139 전해정, "사회복지, 사회정의론, 합리성 ―롤즈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기초연구―" 한국법철학회 16 (16): 81-106, 2013
    • 140 김영용, "사회라는 실재: 맑스와 하이에크의 경우" 13 : 199-216, 2014
    • 141 황재홍, "불확실성과 합리성 그리고 정부 개입: 케인즈와 하이에크" 한국경제학회 59 (59): 147-167, 2011
    • 142 민경국, "법치주의, 자유 그리고 번영" 한국 하이에크 소사이어티 1 : 11-48, 2009
    • 143 김행범, "법의 지배가 경제적 성과에 주는 영향" 한국제도∙경제학회 6 (6): 153-198, 2012
    • 144 민경국, "법, 입법 그리고 자유: Ⅱ" 자유기업센터 1997
    • 145 권혁철, "법(Law)과 입법(Legislation)의 구분과 의미" 2 (2): 93-115, 2008
    • 146 이상헌, "방법론적 시각에서 본 사회주의 계산 논쟁: 미제스, 하이에크의 사회주의 비판 재해석" 2 : 285-323, 1999
    • 147 민경국, "문화 비공식제도 그리고 제도의 경쟁" 4 : 69-101, 2012
    • 148 황재홍, "마르크스-하이에크 커넥션: 20세기 초 과잉투자 경기변동이론의 진화" 사회과학연구원 6 (6): 179-195, 2009
    • 149 우석훈, "마르크스 30년, 케인스 30년, 하이에크 30년, 그리고 폴라니 30년" 129 : 56-66, 2009
    • 150 박도영, "두개의 하이에크: 자생적 질서론과 시장이론" 14 : 151-181, 2000
    • 151 황재홍, "두 가지 합리성과 자유주의: 하이에크와 버논 스미스" 경제연구소 19 (19): 245-259, 2012
    • 152 민경국, "독일의 경제민주화와 한국의 경제민주화" 한국경제연구원 12 (12): 66-71, 2012
    • 153 김이석, "노예의 길" 2006
    • 154 민경국, "구성주의적 합리주의와 진화론적 합리주의" 5 : 131-156, 2000
    • 155 나병현, "교육개혁의 신자유주의적 성격: 오해와 이해" 4 (4): 293-310, 2003
    • 156 신중섭, "과학주의와 자유주의" 1 : 49-72, 2009
    • 157 민경국, "경제헌법의 문제와 개헌과제" 한국제도∙경제학회 4 (4): 79-106, 2010
    • 158 이지순, "경제체제와 제도의 선택과 그 변화에 관한 연구" 359-394, 2000
    • 159 민경국, "경제적 자유주의의 옹호론-신자유주의는 실패한 이념인가?" 80 : 64-77, 2009
    • 160 민경국, "경제관련 헌법개정의 필요성: 시장경제를 위한 자유의 헌법" 2 (2): 183-218, 2008
    • 161 홍훈, "경제, 자연 그리고 제도 및 문화" 한국경제연구원 103-140, 2002
    • 162 장윤재, "경제 세계화와 하이에크의 신자유주의에 대한 신학적 비판" 한국신학연구소 123 (123): 229-261, 2003
    • 163 정회상, "경쟁과 지식: 동적 균형론자로서의 Hayek" 3 (3): 73-92, 2009
    • 164 민경국, "거래비용론과 질서경제학" 15 : 1-27, 1997
    • 165 민경국, "감각적 질서" 자유기업센터 2000
    • 166 김균, "『감각적 질서』와 하이에크의 방법론" 한국사회경제학회 29 (29): 67-92, 2007
    • 167 문우식, "Wicksell, Hayek, Robertson의 이론을 통해 본 화폐적 조정과정" 40 (40): 75-90, 1992
    • 168 Hayek, Friedrich A., "The Use of Knowledge in Society" 35 (35): 519-530, 1945
    • 169 Hayek, Friedrich A., "The Sensory Order: An Inquiry Into the Foundations of Theoretical Psychology" Routledge & Kegan Paul 1952
    • 170 Hayek, Friedrich A., "The Road to Serfdo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4
    • 171 Hayek, Friedrich A., "The Pure Theory of Capita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1
    • 172 Yeong Soo Park, "The Freiburg School und Hayek" 23 : 17-41, 2007
    • 173 Hayek, Friedrich A., "The Fatal Conceit: The Errors of Socialis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 174 Axelrod, Robert,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Basic Books 1984
    • 175 Kim, Jong Hwa, "The Economic Philosophy of Hayek with Special Emphasis on Inflation" 9 : 1-21, 2003
    • 176 Hayek, Friedrich A., "The Counter-revolution of Science: Studies on the Abuse of Reason" Free Press 1952
    • 177 Hayek, Friedrich A., "The Constitution of Liber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0
    • 178 Hayek, Friedrich A., "Studies in Philosophy, Politics and Economic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7
    • 179 Hayek, Friedrich A., "Profits, Interest and Investment" Routledge and Kegan Paul 1939
    • 180 Hayek, Friedrich A., "Prices and Production" Augustus M. Kelly, Publishers 1931
    • 181 Hayek, Friedrich A., "New Studies in Philosophy, Politics, Economics and the History of Ideas" Routledge & Kegan Paul 105-118, 1978
    • 182 Hayek, Friedrich A., "New Studies in Philosophy, Politics, Economics and the History of Ideas" Routledge & Kegan Paul 290-294, 1978
    • 183 Hayek, Friedrich A., "New Studies in Philosophy, Politics, Economics and the History of Ideas" Routledge & Kegan Paul 23-34, 1978
    • 184 Hayek, Friedrich A., "New Studies in Philosophy, Politics, Economics and the History of Ideas" Routledge & Kegan Paul 35-49, 1978
    • 185 Hayek, Friedrich A., "New Studies in Philosophy, Politics, Economics and the History of Ideas" Routledge & Kegan Paul 71-97, 1978
    • 186 Hayek, Friedrich A., "New Studies in Philosophy, Politics, Economics and the History of Ideas" Routledge & Kegan Paul 105-118, 1978
    • 187 Hayek, Friedrich A., "New Studies in Philosophy, Politics, Economics and the History of Ideas" Routledge & Kegan Paul 295-308, 1978
    • 188 Hayek, Friedrich A., "New Studies in Philosophy, Politics and the History of Ideas" Routledge & Kegan Paul 1978
    • 189 이남형, "New But Same Old Story: Hayek’s Spontaneous Order and Evolutionary Game on Group Selection" 1-23, 2011
    • 190 Hayek, Friedrich A., "Money, Capital & Fluctuations: Early Essay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4
    • 191 Hayek, Friedrich A, "Monetary Theory and Trade Cycle" Harcourt Brace & Co 1929
    • 192 Hayek, Friedrich A., "Law, Legislation, Liberty (Ⅲ): The Political Order of a Free Peop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9
    • 193 Hayek, Friedrich A., "Law, Legislation, Liberty (Ⅱ): The Mirage of Social Justi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6
    • 194 Hayek, Friedrich A., "Law, Legislation, Liberty (Ⅰ): Rules and Ord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3
    • 195 민경국, "J.M.Buchanan의 헌법의 경제이론과 사회질서 정책" 2 (2): 5-35, 1988
    • 196 Hayek, Friedrich A., "Individualism and Economic Ord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8
    • 197 노태구, "Hayek의 정치철학: 진보를 목표로 하는 자유" 경기대 6 : 59-81, 1988
    • 198 전도일, "Hayek의 자유주의 사상이 시장경제에 미치는 영향" 17 (17): 37-60, 1998
    • 199 최병선, "Hayek의 자유주의 사상과 정치경제학 이론" 32 (32): 1167-1194, 1994
    • 200 박상수, "Hayek의 인식론적 개인주의에 관한 연구" 제주대 22 (22): 293-312, 1986
    • 201 김영청, "Hayek의 경제적 자유론" 32 : 323-353, 1993
    • 202 박상수, "Hayek의 경기순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2 : 77-95, 1988
    • 203 안병진, "Hayek와 자유주의경제학" 4 : 211-242, 1984
    • 204 박태진, "Hayek’s Theory of Spontaneous Order and Twin Ideas of Cultural Evolution"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9 (9): 351-369, 2008
    • 205 Shim Kyung-Seop, "Hayek's Theory of Justice" 3 (3): 119-140, 1996
    • 206 이영환, "Friedrich von Hayek에 있어 개인주의 사상과 시장질서" 41 (41): 3295-3324, 1994
    • 207 박세일, "Friedrich A. Hayek에 있어서의 법과 경제" 31 (31): 129-153, 1990
    • 208 이호영, "F.A. Hayek의「카탈락시」이론과 그 학문적 공헌" 30 (30): 279-294, 2002
    • 209 이호영, "F. A. 하이에크의 생산구조 및 경기변동론에 관한 연구" 15 : 39-158, 1998
    • 210 이호영, "F. A. 하이에크의 과학주의 비판과 사회과학방법론에 관한 연구" 22 : 127-140, 1997
    • 211 이호영, "F. A. 하이에크의 경제이론에 관한 재검토" 13 : 65-94, 1996
    • 212 Yeong Soo Park, "Entwicklung der Law and Economics" 21 : 5-37, 2005
    • 213 Kim, Jong Hwa, "Economic Philosophy of Hayek with special reference to Unemployment" 32 : 39-60, 2003
    • 214 Hayek, Friedrich A., "Collectivist Economic Planning" Routledge and Kegan Paul 1963
    • 215 Hayek, Friedrich A., "Choice in Currency: A Way to Stop Inflation" The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1976
    • 216 Hayek, Friedrich A., "Capitalism and Historian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3
    • 217 Hong, Keehyun, "Austrian Capital Theory and ”Dynamic” Analysis of Schumpeter vs. Hay다" 5 (5): 167-192, 1992
    • 218 Holcombe, Randall G., "Advanced Introduction to the Austrian School of Economics" Edward Elgar 2014
    • 219 Lee Young Ho, "A Survey on Friedrich Hayek's Economic Thought of Liberalism" 8 (8): 123-136, 2009
    • 220 Shim Kyung-Seop, "A Study on Hayek’s Theory of Knowledge and Spontaneous Order" 8 (8): 107-122, 2009
    • 221 민경국, "3 사유 재산권, 왜 소중한가?" 철학연구회 (72) : 61-91, 2006
    • 222 정문상, "1950年代 前半 臺灣自由主義者의 自由主義 摸索 : 《自由中國》 論說 分析을 中心으로" 중국근현대사학회 (60) : 265-295, 2013
    • 223 주용식, "(자유주의 사상가 12인의) 위대한 생각" 월간조선사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2007-04-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제도경제학회 -> 한국제도∙경제학회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6 0.817 0.21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