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A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들의 분리 및 기능분석 = Indentifica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CRK28/29 gene related ABA signaling pathway in Arabidopsis thaliana
ABA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들의 분리 및 기능분석
식물생명공학과 이지연
지도교수 남재성
식물세포는 외부로부터의 자극을 다양하게 받으며 그 자극에 인지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애기장대에서 예를 들면 400여개 이상의 membrane에 결합된 receptor-like protein kinases(RLKs)가 있다. RLK는 식물발달과정과 생물학적 스트레스, 비생물학적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신호전달 구성요소이며 병원체에 대한 방어와 자가세포사멸 조절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기능적으로 많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애기장대에서 RLK는 extracellular domain에 cystein-rich repeats를 가지고 있으며, cysteine-rich RLKs(CRKs)는 병원균 공격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유도되어 식물방어반응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ABA를 공급한 배지에서 CRK28/29유전자가 없으면 발아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ABA는 종자의 발아를 억제하므로, 야생형의 CRK28/29유전자는 ABA 신호전달에 음성적인 조절자(negative regulator)로 기능을 함으로써 종자의 발아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CRK29과 CRK28 유전자는 생물적/비생물적 스트레스에 의해 급격하게 발현이 유도되므로 병저항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Type III secretion system(T3SS)로 특이적으로 비병원성 인자인 AvrRpm1과 AvrRpt2를 기주식물체로 운반하는 비병원성 균주인 Pst DC300( avrRpm1)과 Pst DC300(avrRpt2)로 박테리아 생장과 Hypersensitive Response(HR)테스트에는 CRK28/29유전자 결함이 된 돌연변이체들은 야생형에 비교해서 저항성에 차이가 크게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병원성 균주인 Pst DC3000 감염에 대한 면역반응에서는 CRK28/29 돌연변이체들에서 Pst DC3000의 생장이 약 10 배 정도 억제되는 저항성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BA는 병저항성에 관련하는 salicylic acid,(SA)호르몬 작용의 음성적인 조절자(negative regulator)로 기능을 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상반된다. CRK28/29 돌연변이체들에서의 병저항성 증가는 ABA에 의한 SA 매개로하는 한 병저항성 기작과는 다른 경로로 병저항성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도 이들 유전자를 연구함으로써 식물체가 생물적인/비생물적인 환경스트레스에 적응하는데 필수적인 기능을 하는 ABA 식물호르몬의 신호전달 과정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어 : CRK28/29유전자, ABA, SA, 애기장대, 음성적인 조절자(negative regulator)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