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진결정도의 최소화 = Minimizing Binary Decision Diagrams based on Genetic Algorithm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5
작성언어
Korean
KDC
028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05-713(9쪽)
제공처
이진결정도(Binary Decision Diagrams)는 부울 함수(Boolean function)를 비순환 방향 그래프(Directed Acyclic Graph)로 나타낸 것이다. 이진결정도를 이용하면, 부울 함수를 간결하고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이진경결정도는 논리 회로 합성, 설계 검증, 테스트 패턴 생성, 고장 시뮬레이션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이용된다.
이진결정도의 크기는 입력 변수의 배열 순서에 따라 민감하게 변하므로, 이진결정도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변수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일은 대단히 중요하다. 더우기 DCVS (Differential Cascode Voltage Switch) 회로의 합성과 같은 문제에 이진결정도를 이용할 경우, 이진결정도의 크기가 회로 구현에 직결되기 때문에 최종적인 이진결정도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최우선 관심사이다.
최적의 변수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일은 co-NP complete 문제이므로, 양호한 변수 배열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여러가지 휴리스틱 알고리즘(heuristic algorithm)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한가지 휴리스틱 알고리즘만으로 언제나 다른 휴리스틱 방법에 비해 더 나은 변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변수 배열 순서 방식을 제안하였고, 수용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즉, 최적화 문제의 해결에 유용한 특성을 지닌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근사 최적 변수 순서(near-optimal variable ordering)를 가진 이진결정도를 생성한다.
Binary Decision Diagrams (BDDs) represent Boolean functions as directed acyclic graphs (DAG). Using BDDs, we can represent Boolean functions uniquely and compactly. Hence, BDDs have become widely used for CAD applications, such as logic synthesis, design verification, test pattern generation, and fault simulation.
The size of the BDDs representation for a function is very sensitive to the choice of orderings on the input variabl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good variable orderings which minimize the size of the BDDs. Furthermore, in case where we apply BDDs to such as the synthesis of differential cascode voltage switch, reducing the size of the BDDs is the primary concerns.
Since finding an optimal ordering is co-NP complete, several heuristic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to find good variable orderings. Nevertheless, no single heuristic algorithms always provide good variable orderings than other heuristics.
In this paper, we propose a variable ordering method based on the genetic algorithms. We apply genetic algorithms which are very useful in solving the problems of optimization to the variable orderings in BDDs to find near-optimal variable orderings. And we get acceptable result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