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f Sports' Leaders on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ffect of sports leaders'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ccording to this research,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and effective human management using psychological capital to improve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ports leaders in a changing sports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population working as sports-related classes, sports center employees, and life sports leaders at sports sites and sports sites in Seoul and Gyeonggi-do. 400 people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of which a total of 362 copies were analyzed as final data, excluding surveys that were unable to analyze due to insincere responses. For data analysis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irwise comparis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using SPSS 21.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sports leaders had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sports leaders had an effect on job performance.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sports leaders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urthly, it was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sports leaders had an effect on job performance. Fifthly, it was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sports leaders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ixthly, it was found that the job performance of sports leaders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number of significant managerial implications are provided. Firstly, since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sports leaders affects on job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sports leaders (self-efficacy, optimism, hope, and resilience). Sports leaders should maintain their status and role as teachers, leaders, and coaches in an environment where they guide sports so that they can become leaders with high self-efficacy through stable sports guidance with hope. An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in which future-oriented and optimistic plans can be made to maintain sports guidance as a job, and an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reach their goals by planning and pursuing life.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establish and assist the treatment and safety net of sports leaders who can recover quickly even in difficulties in sports guidance should be established. Secondly, sports leaders' psychological capital is found to affect job performance, and job performance is linked to work and direct development, and so the higher the salary of sports leaders,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the better the psychological capital. Thirdly, sports leaders' psychological capital has been found to affec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capital, the more influential they are to help colleagues, comply with workplace tasks and rules, and participate in addition to prescribed tasks.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orientation, a regular-time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in which age and career can be recognized and maintained stably. Fourthly, job satisfaction of sports leaders affects job performance, so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and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Fifthly, it is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sports leaders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ccordingly, the continuous development and support of various program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sports leaders are linked to positiv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o that many participants in sports can have a great influence on high-quality guidance, positive sports, and people's health. Sixthly,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of sports leaders,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f job performance is recognized and an appropriate compensation system is established, sports leaders will be responsible for job performance and also mor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ill be achieved.

    더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변화하는 스포츠환경에서 스포츠지도자의 직무만족,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의 향상을 위해 심리적자본을 활용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인적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스포츠현장, 생활체육현장에서 스포츠 관련 수업이나 스포츠센터 직원, 생활스포츠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는 모집단을 선정하였다. 설문조사에 400명이 참여하였으며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하여 분석자료가 불가능한 설문을 제외한 총 362부를 최종자료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처리는 SPSS 21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쌍대비교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지도자의 직무만족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지도자의 직무만족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스포츠지도자의 직무성과는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스포츠지도자들의 심리적 자본(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스포츠지도자들이 스포츠를 지도하는 환경에서 교사, 지도자, 코치로서의 지위와 역할을 유지하여 희망을 갖고 스포츠지도라는 업무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자기효능감이 높은 지도자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스포츠지도를 직업으로 유지할수 있다는 미래 지향적이고 낙관적인 계획을 세우고 삶을 계획하고 추구하여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환경이 이루어져야 한다.
    스포츠지도에 있어 어려움에 처하더라도 빨리 회복할 수 있는 스포츠지도자들의 처우 및 안전망을 구축하고 조력할 수 있는 조직문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성과는 직장의 업무 및 직접적인 발전에 연계되기 때문에 스포츠지도자의 연봉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았던 결과와 같이 연봉과 승진 등의 제도를 마련하여 심리적 자본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자본이 높을수록 동료를 돕고 직장의 업무와 규칙을 준수하고 규정된 업무 이외에도 참여하는 영향력을 보이므로 심리적 자본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장 내에서 사회적 관계에 있는 동료와 직장과 연계된 업무 성과급 등의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조직지향이 높다는 결과와 같이 연령과 경력이 안정되게 인정 되고 유지될 수 있는 정규직 환경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스포츠지도자의 직무만족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연령이 높을수록 연봉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직무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안정된 직장에서 경력을 인정받으면서 업무에 준하는 대우와 연봉계약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스포츠지도자의 직무만족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스포츠지도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지원은 긍정적인 조직시민행동으로 연계되어 많은 생활체육에 참여자는 사람들은 수준 높은 지도와 긍정적 생활체육의 확대, 국민들의 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스포츠지도자의 직무성과가 높을수록 조직시민 행동은 높은 것으로 나타난 점으로 직무성과를 인정하고 적합한 보상체계가 이루어진다면 스포츠지도자는 직무성과를 책임감 있게 완수하고 결과적으로 조직시민행동도 더욱 많이 이루어 질것이다.

    더보기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6
    • 3. 연구모형 6
    • 4. 연구가설 7
    • 5. 용어의 정의 13
    • 6. 연구의 제한점 16
    • Ⅱ. 이론적 배경 17
    • 1. 스포츠지도자의 역할 및 현황 17
    • 2. 심리적 자본의 구성요인 및 선행연구 19
    • 3. 직무만족의 개념 및 선행연구 23
    • 4.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직무성과 31
    • 5. 조직시민행동의 긍정적인 효과 37
    • Ⅲ. 연구방법 43
    • 1. 연구대상 43
    • 2. 조사도구 46
    • 3. 연구절차 54
    • 4. 자료분석 55
    • Ⅳ. 연구결과 56
    • 1.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 직무만족,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의 차이 56
    • 2.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 직무만족,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과의 상관관계 65
    • 3.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66
    • 4. 스포츠지도자의 직무만족이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80
    • 5. 스포츠지도자의 직무성과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84
    • Ⅴ. 논의 87
    • 1.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87
    • 2. 스포츠지도자의 직무만족이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95
    • 3. 스포츠지도자의 직무성과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97
    • Ⅵ. 결론 및 제언 99
    • 1. 결론 99
    • 2. 제언 102
    • 참고문헌 103
    • ABSTRACT 116
    • 부록 119
    더보기
    • 1 김성국, "조직과 인간행동", 서울명경사, 1999
    • 2 김효창, "혼자서 하는 통계분석", 서울:학지사, 2013
    • 3 위성식, "사회체육지도자의 합리적 양성체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권 19-29, 1993
    • 4 전영상, 전영직, "호텔종사원의 직무만족에 관한연구", 공주영상정보대학 논 문집,(8), 443-465, 2001
    • 5 이인재, "사회복지 실무자의 직무성과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6 임태홍, "한국판 긍정심리자본척도(K-PPC) 타당화 검증", 코칭능력개발지,16(3), 157 -166, 2014
    • 7 Ciarrochi , J .V. , Chan , A. Y. C. , & Caputi , P., "Critical evaluatio 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construct", 28 ( 3 ) , 539-561.28 ., 2000
    • 8 Hiltz , S. , & Johnson , K., "User Satisfaction with ComputerMediated Communicati on System", 36 ( 6 ) , pp . 739-764, 1990
    • 9 이광숙, "보건간호사의 전문직태도와 소진과의 관계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00
    • 10 김태훈, "직업무용단원의 의사소통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11 Smith , C. A. , Organ , D. W. , & Near , J. P.,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Its nature and antecedents", Vol . 68, 1983
    • 12 신철, 황성혜, "호텔직원의 사회지능이 역할성과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22(5), pp2263-2285, 2009
    • 13 Pinous , J. D., "Communication satisfaction , job satisfaction , andjob performance", 12 , 395-419 ., 1986
    • 14 정현우, "체육지도자 직업환경,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가?", 스포츠 현안과 진단. vol 21, 2021
    • 15 Avey , J . B. , Luthans , F. , Mhatre , K. H. (, "A call forlongitudinal research in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29 ( 5 ) ,705-711 ., 2008
    • 16 김미숙, 홍관수, "조직공정성이 사회자본과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26권 제5호, pp1123-1148, 2013
    • 17 양인덕, "조직구성원의 공정성 인식과 혁신행동에 관한 조사",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
    • 18 Cote , S. & Miners , C. T. H., "Emotional Intelligence , Cognitive Intelligence , and Job Performance", 51 ( 1 ) , 1-28.30 ., 2006
    • 19 이영진, "조직지원인식, 지식공유, 직무만족 및 몰입 간의 관계", 가천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9
    • 20 윤호연,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5
    • 21 김대식, 나상균, "심리자본의 영향력과 감성지능 및 긍정적 기분의 효과", 대한안전 경영과학회지 제19권 제2호,159-171, 2017
    • 22 유경미, "조직문화 유형이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 위 논문, 2011
    • 23 임진용, "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만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0
    • 24 Oliver , R. L.,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Proces ses in Retail Settings ,", 5 , 25-48 ., 1981
    • 25 권중생, 정유제, "리더의 행동유형과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 의사결정 학연구, 제 21집, 제1호, pp97-120, 2013
    • 26 김종우, 이지우, "조직공정성, 과업특성, 혁신행동 및 혁신성과 간 의 관계", 계명대학 교 산학연구소 경영경제 제45집, 제1호, pp117-140, 2012
    • 27 강승애, "생활체육 전공자의 장애인 생활체육참여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체육과학 회지. 제15권 제2호, pp.79-85, 2006
    • 28 Herman , J . B, "Are situational contingencies limiting job attitude-job performance relationship", 10 , 208-224, 1973
    • 29 Tseng , F. C. , & Fan , Y . J., "Exploring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Ethical Climate on Knowledge Management", 101 , pp . 325-34 ., 2011
    • 30 김영애, "스포츠지도자의 광고모델적 속성이 제품구매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 31 우태화, "직업무용수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안 및 이직의도의 관계", 경성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
    • 32 Vey , M. A. , & Campbell , J. P., "In-Role or Extra-Rol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Which Are We Measuring", Vol . 17 , No . 1 ., 2004
    • 33 이수창, "서번트 리더십,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조직성과 간의 영향관계", 지역발전 연구학회,지역발전연구, 제21권 제2호, 2012
    • 34 김용순, 조광주, "호텔종사원의 감성지능과 QWL,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관광레저연구, 제26권 제6호, pp131-145, 2014
    • 35 Coglisher , C. C. , & Schriesheim , C . A., "Exploring work unit context an d leader-member exchange : A multi-level perspective", 21 , 487-511.29 ., 2000
    • 36 Turnipseed , D. L. , & Vandewaa , E . A.,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110 ( 3 ) , 899-914.32 ., 2012
    • 37 윤종권, "지방공무원의 조직몰입이 조직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배제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08
    • 38 홍명애, "물리치료사의 인구학적 변인 및 직업흥미와 직무만족과의 관계", 명지대학 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 39 노동연, "스포츠센터 종사자의 심리적자본과 혁신행동, 직무성과의 관계", 한국사회 체육학회지, 76, 49-59, 2019
    • 40 조송현, 황인창, 진대근, "스포츠지도자의 그릿, 자기효능감, 직무몰입, 직무성과의 관 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87호, pp,133∼145, 2022
    • 41 박광천,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신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42 박동균, 이정훈, "경찰조직문화와 직무만족에 있어서 조직공정성의 조절 효과 분석", 사회과학 연구,18(1), pp 89-122, 2011
    • 43 Raikes , H. A. , & Thompson , R. A, "Efficacy and social support as pr edictors of parenting stress among families in poverty", 26 ( 3 ) , 177-190, 2005
    • 44 서재하, 이상돈, "체육행정가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 향", 한국스포츠 산업 경영학회지,11(1), pp127-139, 2006
    • 45 Van Dyne L. , Graham , J. W. & Dienesch , R. M.,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Construct redefinition , measurement and validation", Vol . 15 , No . 4 ., 1994
    • 46 신연수,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중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 47 장성배, 탁진국, 정현, "그릿Grit()과 직무개선(Job Graft-ing)의 관계에서 긍정정 서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개발연구, 21(8),31-51, 2018
    • 48 윤성두, "변혁적 리더십, 부하의 감성지능, 자기효능감과 직무성과와의 관계", 가 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49 윤병섭, 이홍재, 이영안, "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 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연구, 제10권 제3호, pp219-238, 2010
    • 50 정석환, "공무원이 인지하는 조직공정성 요인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 콘텐츠학회 논문지, 13(2), pp244-253, 2013
    • 51 박수진, "심리적자본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 체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52 이현아, "직장인의 유머감각이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53 구정대, "카리스마리더십이 동기부여적 자아개념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 향.", 경희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 54 유명희, "컨벤션 형태 기업 회의의 참가 가치와 직무성과 간의 영향 관계 연구", 경기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55 박종문, "경찰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연구", 경 일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2
    • 56 김성덕, 이소미, 김일광, "스포츠센터 종사원의 감성지능과 직무만족 및 조직시민 행 동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50호, 215- 227, 2012
    • 57 노승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 역할정의 매개효과", 숭 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 58 채재성, "생활체육지도자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지역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 국 사회체육학회 제25권, pp111-120, 2005
    • 59 조장헌, "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특성 요인 및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연구", 서 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60 김혜란, 한희섭, 정희경, "항공사 숭무원의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직무만족, 직무성과 간의 관계", 호텔경영학연구, 제27권 제1호 pp.123-141, 2018
    • 61 이제홍, 임우택, 이혁, "생활체육 지도자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 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6, pp187-200, 2009
    • 62 김성진, 허진영, "피트니스센터 지도자의 심리적자본과 직무열의, 조직 시민행동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8권, 제2호, pp721-733, 2019
    • 63 김선희, 조미나, 양일선 , "항공사 승무원의 감성지능이 자기효능감과 조직시민행에 미 치는 영향", 관광학 연구, 제39권 제7호, 163- 181, 2015
    • 64 박민석, "경찰조직의 조직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개선방안", 한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65 Abradam , R., "Emotional intelligence in or-ganizations : A conceptualization . Gen etic , Social , and General", 125 ( 2 ) , 209-219.27 ., 1999
    • 66 박창영, "멘토 역할이 조리사의 직무성과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영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67 양진영, "오센틱 리더십이 대학 스포츠 선수의 심리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모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스포츠과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 68 박철, "직무자원, 심리적 자본, 학습민첩성, 직원몰입, 직무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 과학기술교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 69 Blumberg, M., & Pringle, C. D., "The missing opportunity in organizational research: Some implications for a theory of work performance", 7 ( 4 ) , pp.560-569 ., 1982
    • 70 우석봉, "호텔종사원의 조직시민행동과 선행요인 및 직무성과 간 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 71 Wong , C. S. , & Low , S. L., "The effect of leader & follower emotional intellige nce on per-formance & attitude : An exploratory study", 13 ( 3 ) , 243-27 ., 2002
    • 72 George, J. M., & Brief, A. P., "Feeling good-doinggood : a conceptual analysis of the mood at work-organizational spontaneity relationship", 112 , 310-329, 1992
    • 73 엄석진, 최낙범,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찰조 직을 중심으로", 서울 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263-291, 2013
    • 74 Babin , B. J. , & Boles , J. S., "Employee behavior in a service environment : A model and test of potential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62 ( 2 ) , 77-91 ., 1998
    • 75 윤승재, "스포츠 조직 종사자들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업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 는 영향",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76 이병철, 이채익, "지방공무원의 심리적자본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제13권, 제3호 pp.67-85, 2009
    • 77 박미향, 방희명,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성과 관계에서 조직 몰입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1(5), 1757-1770, 2020
    • 78 박보람, "심리적 자본이 호텔종사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 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영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79 Ozer , M.,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job performance", 96 ( 6 ) :1328-1336, 2011
    • 80 Larry J. Williams and Stella E. Anders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s", Vol . 17 , No 3. pp . 601-617, 1991
    • 81 이순오, "음악줄넘기 지도자의 사회적 자본과 조직문화,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체육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 82 성시한, "우리나라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구성원의 공정성 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83 홍형호, "피트니스센터 직원의 고용관계 특성과 조직유효성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국민대학교 체육박사학위논문, 2015
    • 84 Avolio , B. J. , Gardner , W. L. , Walumbwa , F. O. , Luthans , F. , May , D . R., "Unlocking the mask : A look at theprocess by which authentic leaders imp act follower- 137 -attitudes and behaviors", 15 ( 6 ) , 801-823 ., 2004
    • 85 권용만, 오윤진, "심리적 자본의 조직성과에 대한 영향-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코칭학회 제10권", 4호,117-148, 2017
    • 86 차현수, "현장 관리자의 서비스 리더십 특성이 종사자의 직무 태도와 서비스 성과 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87 엄혜윤, "서울시 여성인력개발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 연구: 경력정체 요 인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 88 차명진, "중간관리자들의 조직정치 지각과 직무만족 :경영진- 부서장 간 교환 관계(LMX)의 조절효과",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89 김병윤, 김우식, "스포츠지도자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의 인과 관 계 :뉴실버세대 중심으로.", 한국스포츠학회지 20.1 (2022): 13-24, 2022
    • 90 김연규, "임파워링 리더십, 심리적임파워먼트와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일탈행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91 이준우, "감정노동자의 인권지원관리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92 이호성, "생활체육지도자의 감성지능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LMX의 조절 효과 한국체육 과학회지", 제 30권, 제 3호, pp,473-485, 2021
    • 93 김형우, "진성 리더십, 개인-직무 적합성, 직무몰입, 역할 내 성과 및 조직시민행동 간 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94 김문중, 박태운, "긍정심리자본이 혁신행동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33(5), pp43-76, 2019
    • 95 김성영, 이수범, 이미래, "호텔식음료 종사원의 조직 동일시가 조직시민 행동 및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26(5),149-164, 2012
    • 96 고수정, "사회복지 전문 인력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영향요인에 관한 연 구:공ㆍ사부문 종사자의 비교",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97 신예린, "항공사 승무원의 코로나 19로 인한 심리적 불안 요인들이 직업자긍심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 98 최은규, "스포츠시설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의 순환관계, 한국 스 포츠리서치, 제17권 5호", 통권98호, pp511-518, 2006
    • 99 서광열, "호텔종사원의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의 영향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성의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100 김진모, 손규태, "대기업 종사자의 직무성과와 경력개발지원, 조직몰 입, 경력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의 인과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Vol.47,No.3, pp,139-174, 2015
    • 101 안성철, "변혁적 리더쉽과 조직구성원의 직무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 직 무몰입에 대한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102 이사겸, "운동처방사․물리치료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조직몰입․직무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103 강은구, 이선규, 구성득, "임파워먼트 리더 행위와 개인 및 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관한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11호,155-165, 2017
    • 104 권기헌, 윤우재, 서인석,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 조직문화의 조 절효과와 조직신뢰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해", 지방행정학회,지방행정연구, 제25권 제3호, 2011
    • 105 김경숙,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성과 결정 모형 : 자기효능감과 내재적 직무동 기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106 장용운, "호텔종사자의 교육훈련이 직무성과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 시 내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107 전대식, "스포츠센터 경영자의 내부마케팅이 지도자의 직장애착도와 직무만족 및 경영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 108 Mackenzi , S. B. , Podsakoff , P. M. , & Fetter , 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bjective Probability as Determinants of Managerial Evaluations of Salespersons ' Performance", Vol . 50, 1991
    • 109 서성택, "공기업에서 직무만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력공사 판매사업소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110 김동성, 이용우, "사회복지 공무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 시민행동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21권, 제3호, 2019
    • 111 임영규, "경찰공무원의 직무특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보기술(IT)활용 등 의 매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112 김경호, 김지훈, "지역자활센터 실무자의 자기효능감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직업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32, pp 107-127, 2010
    • 113 동지강, "중국 대학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이 감성지능, 조직시민행동, 혁신 행동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 114 이영,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초․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115 이규만, 정윤길, "상사의 리더십 행동과 조직공정성 및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4(4):3 23-341, 2000
    • 116 김미라, "조직문화와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경찰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 117 이미현, "진정성 리더십이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 향: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열의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118 김세원, "스포츠지도자의 조직정치지각에 따른 리더-구성원 간 교환관계,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모형 비교연구",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 119 전수홍,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병원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120 김정인, 김호균, "미국 NPO 조직에서의 조직공정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간 관계 고찰; 교차수준 분석(cross-level study)을 중 심으로", 한국행정학보4 7 권2호, pp161-187, 2013
    • 121 홍유리, "직무자율성, 무경계 경력태도, 직무성과 및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중소기업 사무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 122 전태준,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직 무만족, 직무성과와,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123 Chiang , C. F. , & Hsieh , T. S., "The impa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job performance :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31 ( 1 ) : 180-190 ., 2012
    • 124 정화, "중소기업 조직구성원의 직무적합성, 조직공정석과 경력개발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9
    • 125 Fassina , Neil E. , David A. Jones , and Krista L. Uggerslev ., "Rela tionship Clean-Up Time : Using Meta-Analysis and Path Analysid to C larify Relationship among Job Satisfaction , Perceived Fairness , and Citizens hip Behavior", 34 ( 2 ) , 161-188 ., 2008
    • 126 류지원, 박종주, "공무원의 조직공정성 지각이 조직유효성과 행정서비스 품질에 미치 는 영향: 전라북도 일반직 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지방정부학회 보 10권 1호, pp25-47, 2006
    • 127 한진환, "상사의 언행일치가 구성원의 발언행동 및 변화지향적 조직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관계동일시의 매개효과 및 심리적 안전감의 조절효과", 한국인사조 직학회 29.(1),pp 87-111,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