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종단철도(TKR) 건설은 왜 필요한가? = Why is it necessary to construct the Trans-Korean Railway right now?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주제어
KDC
36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1-117(27쪽)
제공처
한반도 종단철도(TKR)는 남북분단으로 단절된 철도 구간을 복원하여 한반도를 하나로 이어주는 철도이다. TKR 프로젝트는 향후 TCR(중국횡단철도), TSR(시베리아횡단철도), TMGR(몽골통과철도), TMR(만주횡단철도)와의 연결을 통해 중·장기적으로는 유라시아 대륙간 철도 연결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즉, 남북 간 물류비용을 해소하고 개성공단 사업과 금강산 관광사업의 활성화를 조성하며, 북한내 지역개발을 통하여 북한주민들의 소득수준을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남북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대륙으로 연결하는 등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 종단철도(TKR) 건설의 수익과 비용을 분석하여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한 후 TKR 사업을 현실적으로 진행하게 될 경우의 구체적 재원조달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TKR 사업이 남북협력 사업으로 진행되는 데서 발생되는 정치적·경제적 리스크에 대한 대책을 다각도에서 분석해보았다. TKR 사업은 건설공사 및 재원조달에 있어서 북핵문제 해결이라는 제약점과 북한 철도의 현대화 비용 등을 고려해 볼 때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그러나 TKR 연결사업은 향후 TKR과 연계된 철도들이 국제물류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므로 한국의 기술 교류, 통상 측면의 확대가 예상되고, 통일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더보기The Trans-Korean Railway (TKR) will be constructed to connect South Korea to other Asian countries and eventually to Europe by land. So South Korea would be inter-connected with China and Russia. It is expected that TKR would function as an economic locomotive which leads South Korean businesses to more affluent European consumers with ease and efficiency. And it may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Mt.
Geumgang tourism and other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in process.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economic value of TKR and expected revenues from the proposed TKR project. With these numbers in mind, this paper concludes that it has ample potential to create huge profits to the North and South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as well. Then how can the TKR project start such a long process of construction and operation? In other words, how can the sponsors collect the initial investments? There are a lot of approaches, and we come to a conclusion in some way. The proposed TKR project has many problems such as construction cost, ups and downs of the inter-Korean relations and unfavorable geo-political situation.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would be another insurmountable obstacle. If these political and market risks have been under control, the TKR will ensure the North and South Korea to obtain a pivotal role in the international trade and logistics especially in the Far Asia. And there will be a lot of opportunities to promote technologies, know-how and exports, thus to enhance Korea’s international statu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