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조 왕실불사에 있어서의 훈민정음 활용에 관한 연구 = The Use of Hunmin-jeongeum (Korean Alphabet) in Royal Buddhist Services during the Joseon Dynas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韓國佛敎學(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73-406(3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While oppressed during the Joseon Dynasty, Buddhism was still practiced by the people including the royal family. Many Buddhist services were carried out despite the opposition of Confucian authorities.
Hunmin-jeongeum (訓民正音, Korean Alphabet) played an important role during these royal Buddhist services. Many Buddhist texts have been written in Hunmin-jeongeum. Royal families of the Joseon Dynasty were involved in both Buddhism and Hunmin-jeongeum directly or indirectly.
After inventing Hunmin-jeongeum or the Korean Alphabet, text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ere replaced with those in Korean by translating Chinese into Korean, or Eonhae (諺解). A representative book of the Eonhae style was the Seokbo-sangjeol (釋譜詳節, Short and Details of Sakyamuni Buddha’s Biography), which was print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King Sejo established the Gangyeong-dogam (刊經都監), or the Ministry of Printing and Publishing Buddhist Sutras, and ordered many Buddhist texts to be translated and published in Korean. The Won-gakgyeong-eonhae (圓覺經諺解) has strong ties to the establishment of Won-gaksa (圓覺寺) Temple, one of royal memorial temples. The Sangwonsa-jungchang-gwonseonmun (上院寺重創勸善文) depicts how royal families carried out their Buddhist services.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and King Yeonsan after King Sejo, it became common practice for the wives and mothers of nobility to perform sacred Buddhist rites.
불교는 조선조에 많은 억압을 받았으나, 여전히 왕실을 비롯한 백성들에게신앙되었다. 유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왕실을 중심으로 한 불사가 행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런 불사의 과정에 훈민정음이 한 역할을 하였다.
세종은 1446년 훈민정음을 반포하였다. 정음으로 된 글의 다수는 불교와밀접한 관련이 있다. 세종대에서 연산군대에 이르기까지 편찬된 우리글 가운데 60%이상이 불교와 관련되어있다. 이것은 훈민정음을 백성들에게 친숙한불교로 유포하려 한 의도로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왕실이 직⋅간접적으로 관여되었음이 나타난다. 왕실은 또한 불사 행위에 있어서훈민정음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자에서 우리글로의 전환은 언해라고 하는 과도기적현상을 겪는다. 이 언해의 대표적인 글이 『석보상절』을 비롯한 각 경전의 언해본이다. 세종은 또한 내불당 불사의 과정에 『사리영응기』를 편찬하였다. 세조는 간경도감을 설치하여 많은 불전언해를 편찬하였다. 『원각경언해』는 왕실의 원찰인 원각사의 창건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상원사중창권선문』 은 왕실이 주도의 불사의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세조 이후 성종, 연산군대의 불사 설행의 주체는 왕에서 왕후 혹은 대비로 전향되게 된다. 왕실 여인들의 종교적 신념으로 불교관련 정음문헌의 편찬과 불사가 이루어짐을 볼 수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7 | 0.27 | 0.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4 | 0.743 | 0.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