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해방기 남북한의 문해정치와 여성독본의 자리 - 박영애의 『여성독본』과 최화성의 『조선여성독본』을 중심으로 - = Literacy Politics and the Status of Textbook for Women in North and South Korea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 Focusing on Park Young-ae’s Textbook for Women and Choi Hwa-sung’s Textbook for Joseon’s Women -
저자
임세화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5-156(7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해방기 여성들에게 ‘해방’이란 무엇이었을까. 탈식민국가의 여성에게 ‘해방’이란 제국주의와 봉건 가부장제로부터의 “이중적 해방”으로 칭해졌다. 이 글은 해방 이후 ‘다시 해방’되어야 했던 ‘여성해방’ 운동의 특수한 성격과 의미를 해방기 ‘문해정치’와 여성독본을 통해 살펴보았다. 좌우의 이념 대립과 체제 경쟁이 격화되어가는 상황 속에서 남북은 통치의 정당성과 우월성을 확립하고 안정을 꾀하려는 목적 하에 문해정치를 펼치기 시작한다. 해방기 남북의 교육 정책은 외연적으로는 문맹퇴치를 위시한 민족교육, 민주주의, 남녀평등의 민족 사업으로 선언되었지만, 그 근저에는 통치 체제에 대한 인민대중의 지지를 확보하고 이념화를 꾀하려는 목적이 있었다. 문해의 영향력과 여파를 이념 정치의 문제로 해석하는 냉전적 사고는 결과적으로 교육에 대한 조선인들의 열망과 이해관계가 일치하게 되었지만, 남북 교육정책의 출발과 방향성은 조선인들의 이상과는 근본적으로 상이한 것이었다. 조선의 문맹퇴치와 민족교육은 이미 그 출발에서부터 양단의 이질적인 이념성을 내장하고 있었고, 교육의 방향성은 점차로 미국과 소련이라는 두 점령국가의 이념 대결의 성격을 담지하게 되었다. ‘문맹퇴치 운동’ 저간의 이중성에서 드러나듯 남북이 각자의 상이한 목적을 가지고도 동일한 구호 아래 민족운동으로서 문해정치를 펼쳤던 것처럼, ‘여성해방’ 역시 전혀 다른 이념적 목적으로부터 출발했음에도 외연적으로는 동일한 기치와 선언 하에 그 노선이 생성되었다. 남북 모두 여권 신장과 평등 실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여성문해교육을 정치적으로 전유하는 가운데, 해방기의 여성은 다시 한 번 민족의 ‘정치적 진보성’과 ‘근대성의 정도’를 드러내는 표지로서 작동하게 되었다. 남북 공히 내걸었던 ‘남녀평등의 민주주의 질서 확립’이라는 정책 기조는 각각 자본주의/공산주의 사회로의 재편이라는 점령의 기본 목표를 관철시키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정치적 문제 해결과 사회 안정을 꾀하기 위한 것이었다. 여성 권익을 옹호하고 지위를 향상시킨다는 방침은 정책 추진 과정에서 여성의 지지와 참여를 이끌어내고 민주주의 이념의 실체와 효능감을 가시화하는 데에 더 큰 목적이 있었던 것이다. 역사상 여성독본은 당대적 현실, 사상적 변화와 통치 이데올로기, 성 역할을 담지하고 재생산하는 제도적 구성물이자 정치 기획물로 기능해왔다. 박영애의 『여성독본』과 최화성의 『조선여성독본』은 여성 사회주의자가 쓴 여성독본으로서, 근대계몽기 이래 여성에게 이중의 주박이 되었던 ‘독본’이라는 형식을 빌어 역설적으로 ‘여성해방’을 위한 문해를 설파했다. 이 두 권의 독본은 여성이 직접 쓴 ‘해방기 여성의 이상’으로서 해방기 독본류 발행의 경향에서나 여성운동사의 흐름에서 특수한 위상을 점한다. 이들은 특히 ‘경제적 주체’로서 여성이 바로 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민족국가 건립과 혁명의 동지로서 소환되는 구도에서 벗어나 여성 스스로 해방의 주체가 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이 두 권의 책은 ‘여성해방’의 포문이 본격적으로 열리던 때에 통치 기획과 냉전 이념, 민족주의, 탈식민, 계몽이 결합되었던 근대여성운동의 상징적 사례이자 실체로서 주목을 요한다. 더불어 오랜 여성운동사에서 미완으로 머물던 이슈들을 현장 ...
더보기What did ‘liberation’ mean to Korean wome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For the women in post-colonial state, the ‘liberation’ meant the “dual liberation” from imperialism and feudal patriarchy. This article examined the special nature and meaning of the ‘liberation movement’ of Korean women, who had to be ‘liberated again’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literacy politics” and textbooks for Korean woman wome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n the situation where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the system competition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were escalating, South and North Korea began to carry out literacy politic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legitimacy and superiority of their ruling system and achieving stability. The education policy of the two Korea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as outwardly declared as a national project for the eradication of illiteracy and the education of democracy and gender equality, but its underlying purpose was to secure public support for their ruling system and to seek for consolidating ideologies. The Cold War mode of thinking that interprets the influence and aftermath of literacy as a matter of ideological politics consequently became consistent with the aspirations of Koreans for education, but the start and direction of the education policy of the two Koreas wa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ideals of the Koreans. From the beginning, illiteracy eradication and national education in Korea already had the nature of extremely heterogeneous ideology, and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gradually contained the nature of an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occupying countrie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s revealed in the duality of the ‘illiteracy eradication movement’, the two Koreas carried out literacy politics as a national movement under the same slogan despite their different goals. In the same way, the ‘women’s liberation’ also started from a completely different ideological purpose, but outwardly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slogan and declaration. Both South and North Kore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extension of women’s rights and the realization of gender equality while using women’s literacy education for political purposes. Therefore, Korean woman in the liberation period once again acted as a mark to reveal the ‘political progressiveness’ and ‘degree of modernity’ of the nation. The purpose of the policy direction to ‘establish a democratic order based on gender equality’, which was put forward by both South and North Korea, was to solve the political problem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accomplishing the basic goal of the occupation of the two Koreas, namely, reorganizing South and North Korea into a capitalist/Communist society, respectively, and to seek social stability. However, the policy to advocate women’s rights and improve their status had actually served a wider political purpose in drawing women’s support and participation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and visualizing the reality and efficacy of the democratic ideology. Historically, textbooks for women have functioned as an institutional strategy and a political project that represent and reproduce the reality of the times, ideological changes, ruling ideology, and gender roles. Park Young-ae’s Textbook for Women(女性讀本) and Choi Hwa-sung’s Textbook for Joseon’s Women(朝鮮女性讀本) were written by female socialists, who paradoxically preached literacy for ‘women’s liberation’ using the form of ‘textbooks’, which have been a double shackle for women since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se two textbooks, containing the ‘ideology of women in the liberation period’, were written by women themselves, and hold a special position in the trend of textbook publication in the liberation period or in the history of women’s liberation move...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3-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umanities | KCI등재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7-2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원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for Humanities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 | 0.4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5 | 0.858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