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구명조끼 의무착용을 통한 연안 활동자의 안전 증진 방안 연구 = Study on ways to improve the safety of Coastal Fishing Activity Through mandatory wearing of life jacke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05-231(27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cessity of wearing a life jacket during certain activities on the coast through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coastal accidents that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with the recent increase in users, with the aim of preparing measures to improve the safety of coastal activist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seriousness of coastal accidents and the necessity of wearing safety equipment were suggested. For fishing at sea, safety equipment such as a life jacket must be worn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isure Safety Act, but there are no personal safety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for fishing actors in coastal areas where continuous accidents occur, so they are in the blind spot of the law. In this regard, the effectiveness of life jackets was reviewed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results and overseas case studies, and based on these research contents, the area of the place where life jackets are obligated to be worn and the target behaviors were derived, and a legal proposal was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a legislation was proposed to improve coastal safety due to obligatory wearing of life jackets by fisher in coastal areas. It is judged that the composition is necessary.
더보기이 연구는 연안 활동자의 안전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최근 이용객 증가에 따라 급증하고 있는 연안 사고 발생 현황 분석을 통하여 연안에서 특정 행위 시 구명조끼 착용의 필요성을 고찰하였고, 해상 조난 사고와의 비교를 통하여 연안 사고의 심각성 도출과 안전 장비 착용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해상에서의 낚시 행위는 수상레저안전법에 따라 구명조끼 등 안전 장비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나 계속적인 사고가 발생하는 연안지역 낚시 행위자에 대하여는 개인 안전 관련 법규정이 부재하여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국내·외 연구 결과와 해외사례의 조사를 통하여 구명조끼의 효과성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사고통계와 연안 이용방법 등을 고려하여 구명조끼 의무착용 대상 장소 영역과 대상 행위를 도출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내용들을 바탕으로 법제안을 제시하였다. 추후 연안에서의 낚시 행위자의 구명조끼 의무 착용을 위한 다각적이고 지속적인 검토와 연구가 필요하 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법제화 및 법안 시행에 대한 환경조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1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6 | 1.09 | 1.183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