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57년 경찰 ‘과제교양’의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1957 Police Task Education- Practice Diary of a Police Officer at the UiRyeong PoliceSt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 근현대사 연구(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61-301(41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해방 후 미군정이 실시되면서부터 ‘경찰교양’은 일제강점기 때 형성된 경찰의부정적인 이미지를 불식시키기 위하여 경찰기관별로 꾸준히 추진되어 왔다. 그러던중 1952년 8월 경찰관의 전반적인 직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자체교육’이라는새로운 의미로 ‘경찰교양’이 시행되었으나 당시 전 경찰력이 빨치산 진압작전에집중되었기 때문에 크게 활성화되지는 못하였다. 그럼에도 강행된 여러 ‘경찰교양’이 있었는데 그 중 ‘과제교양’이 가장 많았다. 사례로 의령경찰서의 한 경찰관이 작성한 『교양수부』를 보면 학과 과목인 훈육, 형법, 형사소송법에 관한 내용이 많았으며, 교양자료는 대부분 경찰잡지였다. 반대로실무에 있어서는 ‘보안’ 업무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었다. 다만 보통학에는 국사와상식, 술과에는 조련·점검·예식과 포승술 교양을 받았으나 자동차 조련, 어학 등에관한 교육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실 경찰교양제도가 얼마만큼 성과를 거두었는지에 관해서는 공간사에서 구체적인 기록을 찾기 힘들다. 다만 당시 경찰관들의 구술로 볼 때, 경찰 당국이 지시일변도로 추진하여 그들이 과중한 업무를 하면서 강제적으로 이행하여야 했고, 교양평가 점수로 인한 심적인 부담감이 크기도 했겠으나 그럼에도 전반적으로 실무능력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추정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성과가 실제로 지역사회와 경찰활동 간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는지 아니면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는가는별도로 연구되어야 한다.
더보기Since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implemented after liberation, “Police Education” has been steadily promoted by police agencies to dispel the negative image of the police form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Meanwhile, in August 1952, when the police culture system was unified, a new police culture system was implemented, but it was not very active because the former police force was concentrated in the crackdown on the partisan under the wartime police system. Nevertheless, there were many cultures that were enforced, of which “Task Training” was the most common. As an example, Practice Workbook, which was prepared by a police officer at the UiRyeong Police Station, shows that there was a lot of culture related to discipline, criminal law, and criminal procedure law, which are subjects of the department. On the contrary, most of the “security” tasks were achieved in practice, but ordinary science received training, inspection, ceremony, and martial arts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alcohol, but there was no training in cars and languages. In fact, it is hard to find specific records in spatial history as to how much the police culture system has achieved. This means that there is no result. However, based on the dictates of the police officers at the time, the police authorities had to carry out heavy duties and forcefully carry out them, and the overall burden of the cultural evaluation score must have been great, but it is assumed that it helped improve the police officer’s practical skills. However, whether these achievements actually had a positive effect or a negative impact on the community and police activities should be studied separately.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2 | 1.675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