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Diskurse um die Rolle der Frau in Deutschland
저자
Barbara Drinck (Univ. Leipzig) 연구자관계분석
발행기관
학술지명
독일어문화권연구(Zeitschrift fur Deutschsprachige Kultur & Literature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English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85-310(26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이 논문은 현재 독일에서 아이의 양육에 있어 엄마의 역할을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논의들을 조명해보고자 한다. 19세기에 시작된 독일의 여성운동은 2차 대전 후 서독에서의 “신여성운동”으로 이어지는데 이 운동은 무엇보다도 사생활과 가족 내 가부장적 상황을 제거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가정 내 폭력 과 강간 등에 맞서 싸우고 여자들을 가사와 육아 등의 “재생산적” 노동에서 해방시키려 했다. 동독에서는 국가가 주도하에, 즉 법을 통한 여성해방이 이루어졌다. 여성은 직업을 가져야 했고 가정 내 폭력은 법적으로 금지되었으며 1970년 이후에는 여성들이 직업과 가족을 병행하도록 탁아시설 등이 강화되었다. DDR 법에 의하면 부부 모두 가사와 아이양육을 책임지도록 되어 있었다. 동서독의 성 역할에 대한 이해의 괴리는 통일 후에도 그대로 지속되어 서쪽에서는 가정주부 모델이, 동쪽에서는 직업여성 모델이 지배적이다.
성역할에 대한 오늘날의 논의는 크게 두 방향으로 나뉜다. 도덕적-신학적 연구방향은 “신과 자연”을 내세워 여성의 역할에 대해 논증하고 인식론적-인류학적 연구방향은 사실에 입각하여 논증한다. 하지만 정확히 관찰해 보면 이 두 번째 방향도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고 있다. 즉 성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이론이 생성되지 못하고 성에 대한 선입관이 작용하고 있다. 비과학적인 증거를 내세우는 이론들이 있고 젠더 스터디는 학문적 업적일지는 모르지만 이 복잡한 이론은 이해하기가 어려워서 성역할에 대한 일반적인 논쟁에서는 주변적인 논의로 그친다. 이 두 기본 방향에 상관없이 오늘날 이루어지고 있는 논의는, 성이란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 대한 논쟁인데 두 가지 노선으로 구분된다. 첫째, 구조주의자들과 실용주의자들에 따르면 사회적 태도, 성역할에 대한 표상이나 성정체성은 생물학과는 무관하게 구축되고 연출된다. 인간은 인류학적으로 열린 존재로서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제도적 도움에 의존한다. 그래서 국가와 학문은 성적인 중립성에 대한 권리를 보장해주어야만 한다. 둘째, 생물학자들과 진화론자들에 따르면 사회화는 근본적으로 아무것도 바꾸지 못하며 우리의 성에 대한 태도는 유전자, 호르몬, 뇌의 구조에 달려 있다. 즉 사회에 성에 의해서 구조화된 것이다. 진화론자들에게 있어 성 역할은 강자와 적응력이 있는 자만이 살아남도록 하여 종을 보존하는 진화 프로그램으로 우리가 자의적으로 조종할 수 없는 것이다. 이 때 상이한 두 성역할은 상호 보완적인 기능을 한다. 구조주의자들의 이론은 학문분야에서만 진화주의자들의 이론보다 더 널리 퍼져있지만 오늘날 일반적 논의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는 것은 진화론적 이론이다. 진화론적 사이비과학의 설명에 따르면 여자들은 선사시대에 채집자들이었고 남자들은 사냥꾼이었는데 이 성에 따라 다른 역할이 오늘날도 남녀의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 이들은 여자들은 비이성적이고 불합리하며 아이들과 노는 것이 맞으며 남자들은 공격적이고 덜 감정적이고 그래서 아이들을 보살피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오늘날 우리는 직업이 사생활보다 우선시되는 세계에 살고 있다. 산업국가에서 대부분의 개인은 기업의 상황에 의존하는데 이동성, 유연성 그리고 전문성을 요구하는 기업은 가정에 호의적인 조건들을 제공하지 못한다. 그리고 Double Income no Kids (DINKs)는 이미 자리...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20-08-0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Zeitschrift fuer deutschsprachige Kultur und Literaturen -> Institut für deutschsprachige Kultur und Literatur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9-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Zeitschrift für deutschsprachige Kultur & Luteraturen -> Zeitschrift für deutschsprachige Kultur & Literatur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8 | 0.18 | 0.1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5 | 0.16 | 0.481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