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기술추격은 어려운가? - 한국 기계제어컴퓨터의 기술체제 및 시장체제 특성과 기술추격의 실패사례 = Why catching up is difficult - from market regime to technological regime - the case of the computer for controlling machine tool oper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주제어
KDC
325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25-256(32쪽)
제공처
지난 20년간의 투자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기계제어컴퓨터 장치(수치제어장치)의 기술추격은 성공적이지 못한 결과를 가져왔다. 이 연구는 수치제어장치 산업의 특징을 기술체제와 시장체제의 특징으로 이해하고, 기술 및 시장의 특징이 실패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한다. 기술 및 시장 체제의 특징으로 미루어보았을 때 지식의 원천에의 접근과 시장 확보에 있어서의 실패가 예상된다. 실제 한국에서의 결과는 이 두가지면에서의 실패로 나타났다. 비록 한국은 수치제어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 생산자 환경에서의 성능 시험에서 성공적인 제품을 만들어 내었지만 제품의 성능은 사용자 환영에서 실패했기 때문에 시장을 확보하는데 실패했다. 이는 수치제어 장치 개발에 필요한 지식의 특성 때문이다. 이 연구는 제품이 필요한 지식에 접근하고 시장을 확보하는데 악순환의 고리에 빠트리는 수치제어 장치 개발에 필요한 두 가지 유형의 지식을 설명한다. 성능 신뢰성획득을 위한 지식, 고객화에 대한 지식이 다른 일반적인 범용 자동화 통제 장치 기술의 특징과 관련됨을 논의하였다. 향후 수치제어장치의 기술추격을 위한 기술체제 및 시장체제 친화적인 전략이 제안되었다.
더보기In spite of twenty year investment by a number of Korean companies and by government, companies manufacturing the numerical controller, which is an integrated computer controlling automatic machining process of the general purpose machine tools, recorded failures. This study captu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umerical controller industry in terms of technological regime and the market regime of the numerical controller. This study analyzes an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n the failure of the numerical controller case. The characteristics lead one to expect a pattern of failure in accessing knowledge and gaining market share. However, Korean succeeded in developing the product in terms of successful technical performance in the producers" environment. It failed in gaining market due to poor technical performance in the s user environment. This study elucidates two types of knowledge base of the numerical controller which provided a vicious circle in accessing and accumulating the parochial knowledge and in gaining market share. The two types of knowledge for making the numerical controller could be only gained by selling mass produced goods to customers in various conditions. A "technology regime friendly approach" for learning to make commercially viable numerical controllers in a catching up country is suggested on the basis of stylized facts from existing literatur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