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The Efficacy of Visual Activity Schedule Intervention in Reducing Problem Behaviors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Between the Age of 5 and 12 Years: A Systematic Review
저자
Naveena Thomas (Department of Audiology and Speech Language Pathology, Kasturba Medical College, Mangalore, Manipal Academy of Higher Education, Manipal, Karnataka, India) ; Sudhin Karuppali (Department of Audiology and Speech Language Pathology, Kasturba Medical College, Mangalore, Manipal Academy of Higher Education, Manipal, Karnataka, India)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English
주제어
KDC
516
등재정보
KCI등재,SCOPUS,ESCI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5(1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Objectives: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tend to be noisy and violate rules with their disruptive behaviors, resulting in greater difficulties with off-task behaviors and being at risk for social refusal. The visual activity schedule (VAS) intervention program is a frequently used method to teach multiple skills involving on-task, use of schedules, transition behaviors, social initiation, independent play skills, classroom skills, and academic skills. The current systematic review aimed to examine the efficacy of using VAS intervention in reducing problem behaviors in children with ADHD between 5 and 12 years of age.
Methods: Systematic searches were conducted using two electronic databases (PubMed and Scopus) to identify relevant studies published in English between 2010 and 2020. Four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two studies examined the effect of schedule-based tasks and the use of an iPad on classroom skills, while the other two examined randomized clinical trials (RCTs) of psychosocial treatment for ADHD inattentive type and a cross-sectional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the group size on task behavior and work productivity in children with ADHD.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terventions used in all four studies could lead to increased satisfaction among participants and parents, as well as a reduction in problem behavior. In terms of the research indicators, the RCT had low quality, while the others were of high quality.
Conclusion: A larger number of studies and the ADHD clinical population would help to increase the generalizability of future reviews of treatments in this contex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