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후기 戶籍에 등장하는 束伍軍의 성격 =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go Milita Forceas Reflected in the Household Register of the Late Chosŏn Dynasty
저자
남궁승원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83-223(41쪽)
제공처
여기에서는 조선 후기 束伍軍의 軍政 운영이 戶政 체계에서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살펴보았다.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군정과 호정은 밀접하게 연결되었으며, 正軍은 戶籍에서 호의 대표자로 규정되었고, 호의 숫자가 곧 군사 숫자를 의미했다. 保法이 시행되면서 이 관계는 약화했으나 이후에도 호정에 기반한 군정 운영은 상당 기간 유지되었다. 특히 중앙 군영 소속 정군은 호의 대표자를 중심으로 차정되었고 지역에 할당된 군액이 호적에 반영되었다. 18세기 후반부터 호적 都已上과 본문 사이의 관계가 약화해 호적이 군역자 신상을 확보하는 기능을 점차 상실했지만 제도적으로는 기존의 흐름이 이어졌다.
반면, 속오군은 호정을 통한 군정 운영과 분리된 영역에서 출현했다. 이후 속오군 운영이 호적 운영에 일부 결합했고 그에 따라 호적에도 속오역이 등장하기 시작했지만, 호적을 통해 할당된 속오군 총액은 군적을 통한 할당된 총액에 크게 미달했다. 본문뿐만 아니라 군현에 할당된 役摠을 표기하는 도이상 모두에서 호적은 속오군의 일부만을 그 범위에 넣고 있었다.
호적에서 파악하도록 할당되지 않은 남은 속오군 액수는 호적에 등재되지 않은 籍外戶 및 정부의 정책에 따라 문서상에서 그 존재가 사라진 양역 兼役者를 통해 채워졌다. 이러한 구조는 중앙의 군역 정책과 군현 단위의 대응이 결합한 결과물로 중앙정부는 이러한 운영 방식을 공식적인 행정 체계로 인정한 것이었다.
속오군이 호정과 일정 부분 구분되었던 이유는 임진왜란 당시 속오군이 전시 동원체제로 설치된 제도였기 때문이다. 임시체제로 출범한 속오군은 기존 체제와 완전히 통합되지 않았고 이에 따라 제도적 차원에서 호정과 분리된 별도의 군정 운영이 만들어졌다. 임진왜란 이후에도 그와 같은 체제는 고착되었다. 속오군이 호적에서 보여준 이러한 모습은 당시 군정이, 특히 지방 군사력의 운영이 제도적 차원에서 호정과 분리되어 구축되고 운영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administration of the sogo militia force [regimental troop] in late Chosŏn dynasty was structured within the household registration [hojŏk] system. From the late Koryŏ dynasty to the early Chosŏn period, the military and household administration were closely intertwined, with regular soldiers [chŏnggun] designated as household representatives in the household register, meaning that the number of households directly represented the number of military personnel. The relationship was weaken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Paired Provisioner System [pobŏp]. However, military administration based on household registration remained largely in place for an extended period. In particular, regular soldiers assigned to central military divisions were selected among the heads of the household, and the military quota assigned to each region was reflected in the household register. From the late eighteenth centur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text of the household register and its statistical record [toisang] began to weaken, gradually eroding the role of the household register in secu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ose subject to military service. Nevertheless, the institutional framework continued to follow the existing patterns.
In contrast, the sogo militia force was initially created as a military system that was separate from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based on the household register. Over time, the sogo force became partially integrated into the household register system, resulting in military obligators for the sogo militias appearing in the household registers. However, the number of the sogo force as recorded in the household regist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umber officially allocated by the military administration. This structure was evident both in the main text and in the statistical records of the household register, which documented the allocated quotas.
The household register included only a part of the required number of the sogo force. The remainder was filled by those who were not included in the household register and by those who were obligated with both regular national duty and the duty of sogo militia. This administrative structure was not only established at the local county level, but was also officially sanction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he reason for the partial separation of the sogo force from the household register system was that the sogo force was established as an emergency mobilization system during the Imjin War. As a temporary measure, the sogo force was not fully integrated into the existing system, which resulted in the military administrative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ehold register. Over time, this structure became more permanent and continued after the war. The appearance of the sogo force within the household register serves as an indicator that the military administration—especially at the local level—was institutionally established and operated as a separate entity from the household administr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