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도 이탈 예방을 위한 교육대학교 학생지도체제 개선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D 교육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 Improving the Student Support System to Prevent Dropout: An Exploratory Case Stud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33-357(25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 변화 속에서 교육대학교의 중도 이탈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교육대학교재학생의 학교적응을 돕고 중도 이탈을 예방하기 위해 D 교육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학교적응을돕는 대학 내 제도인 학생지도체제를 검토하고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연구에서는 Tinto(2012)의 중도 이탈 과정 모델을 토대로 D 교육대학교 재학생 88명에게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주제는 지도교수제의 경험, 특성화 프로그램 참여 경험, 교육실습 및 교육봉사경험, 대학 생활 경험, 학생 개인의 사회적 지지 체계, 예비 초등교사로서 진로 만족도 등의 영역으로구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도교수와의 면담은 교육대학생의 학교적응과 교직에 대한 열정 강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 관련 특성화 프로그램의 참여는 전공 만족도,구성원과의 관계, 소속감, 교사가 되고 싶다는 교직 열망 등의 강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교육실습은 예비교사로서 정체성 강화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본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교 대학생의 학교적응과 중도 이탈 예방의 핵심 자원으로서 지도교수제, 특성화 프로그램 및 교육실습, 학생상담 센터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끝으로,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중도 이탈 문제와 관련 보다 근본적인 예방법으로 입시단계에서부터 오랫동안초등교사를 희망해 온 학생들을 선발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더보기This study explored improvements to the student support system at 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response to rising concerns over university dropout rates in the context of recent rapid societal changes. Based on Tinto’s (2012) model of student departur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88 students enrolled at 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survey addressed areas including guidance from faculty advisors, participation in specialized programs, practicum and service activities, general university life, social support systems, and career satisfaction as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felt that guidance from faculty advisors helped them adjust to university life and increased their motivation for their future professions. Participation in teaching-related specialized programs further strengthened their career aspirations and contributed to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These programs also promoted a sense of belonging and positive peer relationships. Notably, practicum experiences were especially effective in reinforcing participants’ identities as future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discusses potential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student support system to enhance the school adjustment process and reduce dropout rates at universities of education. It proposes that selecting applicants who indicate a longstanding aspiration to becom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 the admissions stage may serve as the first step to preventing dropout.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