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제7차 개정 교육과정 중2 ‘역사’교과서의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서술 내용 검토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3-78(36쪽)
KCI 피인용횟수
13
제공처
소장기관
역사교과서 내용 가운데 민족사의 출발 시기를 다루는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부분은 단군신화 및 고조선사가 포함되어 있어 그 동안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특히 역사교과서 편찬 목적과 관련하여 민족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한국 고대사의 다른 분야보다 문헌자료가 부족하고 고고학 자료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 인해 학계의 논쟁이 많은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교과서 서술에서도 하나의 단일한 입장으로 정리하기가 쉽지 않은 내용이 많다보니 교과서마다 차이가 많이 눈에 띈다.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서술에도 일정한 변화가 보인다. 새로운 자료의 발굴로 연대관을 새로이 조정한 것이나 세계사 내용을 한국사 내용과 함께 서술하는 특징도 보인다. 새로운 자료의 발굴로 편년을 새로이 조정한 것이나 학계의 최신 성과 등을 최대한 많이 담으려고 노력한 면이 돋보인다. 특히 그 동안 많은 논란이 되었던 고조선의 영역 문제를 ‘문화권’ 개념을 적용하여 해결하려고 노력한 점이 주목된다.
제7차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는 고조선 중심지와 관련해서 여러 학설이 있음에 유의하며, 특정 학설을 지지하기보다 고조선의 대표적인 유적과 유물을 통해 고조선의 대체적인 세력 범위와 문화권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있다. 대부분의 교과서는 ‘강역’이나 ‘세력 범위’라는 용어에 대한 부담을 ‘문화권’이라는 용어로 표현하고 있으나 결국 ‘고조선 인들이 남긴 문화의 분포 범위’라는 의미를 담고 있어, 사실상 같은 의미로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7차 개정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서술 체제와 내용은 2002년판(제7차) 중학교 국사 교과서와 비교해 많이 달라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구석기 시대의 시작 연대나 선사시대의 생활상에 대한 서술만 보아도 이전 교과서와 비교해 새로운 내용이 많이 추가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가장 주요한 요인은 새로운 교육과정과 집필 기준안이 세부 내용까지 제시하고 있어 그 틀을 벗어나기 어려운 점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 집필기준은 최대한 대강화된 내용으로 제시되어 집필자의 자율적인 서술 환경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집필자들은 검인정 발간의 취지를 최대한 살려 자유롭게 필자의 재량을 살려 다양한 교과서를 서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The eighth grade history textbook of the 7th revised curriculum is showing a more advanced description than the former 7th curriculum textbook in the description of ‘Formation of Civilization and Establishment of Gojoseon’.
Although it is the one that has newly adjusted the chronological order due to the discovery of new data, the aspect of making effort to contain recent achievement of the academic circles as much as possible stands out. Especially, making effort to solve the problem of Gojoseon territory that has been a huge controversy until now by applying the ‘cultural area’ concept is worthy of note.
But it could be said that the overall description system and details did not change much compared with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of 2002 edition (the 7th curriculum). Just by looking at the starting year of Old Stone Age or the description on life phase of prehistoric age, the fact that almost no new details are added compared with the former textbook.
This could be considered as not corresponding well with the purpose of publishing officially approved textbook trying to supply the textbook of various details and forms at the scene of education. I think the reason that most textbooks show similarity in a large sense is probably because the details had to be described by observing the writing standard proposal which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past. It seems that there would have been great aspect of limiting diversity of historical description and free description after writing based on the writing standard proposal. It is difficult to expect selfregulated textbook description under the situation of presenting even the detailed contents as writing standard just like now.
Therefore, I think presenting only the rough details for the writing standard proposal presenting the standard of textbook description to leave the detailed contents at the discretion of writer is most appropriate for the purpose of publishing the officially approved textbook. In case of the writer, the effort of actively accommodating the latest opinion of academic circles is necessary even in the description of specific detail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7-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7 | 3.463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