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모래놀이치료에서 나타난 뇌성마비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 Nonverbal Communication of Cerebral Palsy Child Expressed in Sandplay Therap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3-48(16쪽)
제공처
Nonverbal Communication of Cerebral Palsy ChildExpressed in Sandplay TherapySookyung Kwak & Sunmyung Kim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which a 7-year-old cerebral palsy child who was unable to speak expressed in the sandplay therapy sessions. This study was based on Stake’s case study methodology, which has the aim to understand an unique case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nalysis. The data included records of nonverbal communication of the participant during 8 sessions of sandplay therapy, sandpictures and their symbol analysis, interviews with her grandmother, and other treatment records.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text and image data were repeatedly read to derive categories. Findings could be categorized into 3 groups as follows: ‘I, controlled by myself, not others’, ‘sufficiently enjoyable communication’ and ‘I, able to take care of myself’ These results may support that the sandplay therapy is effective intervention to the therapy with children of cerebral palsy, however, addition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Key Words: Cerebral Palsy, Child, Sandplay Therapy, Nonverbal Communication, Case Study
모래놀이치료에서 나타난 뇌성마비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곽 수 경*ㆍ김 선 명**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7세 뇌성마비 아동이 모래놀이치료 과정에서 표현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 독특한 사례에 대해 상세한 기술과 분석을 실시하는 Stake 사례연구를 적용하였다.
연구 내용: 자료는 각 40분간 총 8회기에 걸쳐 실시한 모래놀이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연구 참여자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한 기록, 모래상자 사진 및 이에 대한 상징해석, 보호자와의 면담 및 추수면담 기록, 기타 치료 기록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고 범주를 도출하여, ‘남이 아닌 내가 조절하는 나’, ‘충분히 즐거운 의사소통’, ‘나를 돌보아 줄 수 있는 나’의 총 3개의 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에 대한 상담 개입으로 모래놀이치료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핵심어: 뇌성마비, 아동, 모래놀이치료, 비언어적 의사소통, 사례연구
□ 접수일: 2022년 9월 30일, 수정일: 2022년 11월 12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주저자, 단국대학교 상담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Dankook Univ., Email: zskwak@naver.com)** 공동저자,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예술치료전공 주임교수(Co-author, Professor, Dankook Univ., Email: ksm8891@nate.com)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