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근현대 ‘위성(衛聖)’ 공동체의 등장과 지역 사회 변동 - 전주향교(全州鄕校)를 중심으로(1920~1960)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7-103(27쪽)
KCI 피인용횟수
0
비고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전근대 향교는 향촌 교육과 지역민 교화의 구심점이었고, 근대에는 식민권력에 흡수되어 촌락지배 선전기관으로 작동하였으며, 현대에는 유교 문화 부흥을 위해 공자 사상을 전파하는 기관으로 이어져 왔다. 이처럼 향교는 전근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거시적인 시대 변화와 함께 미시적인 지역 사회 변동이 담겨 있는 상징적인 공간이다.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전주향교 내에 세워진 존성회(尊聖會)와 위성계(衛聖契)는 같은 목표를 표방하였지만 실질적인 활동 양상이 달랐다. 일제강점기 조직된 존성회는 ‘유학의 진흥’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나 지역 유지 중심으로 구성된 공동체였기에 조선총독부의 식민정책에 흡수되기 쉬웠고, 결국 지배정책의 촌락 전파를 위해 활동하게 되었다. 해방 이후 설립된 위성계는 해방이라는 사회적 혼란 속에 일어난 유림 사회 내의 균열, 그리고 일반사회에 널리 전파된 유학 혐오 사상의 제어를 위해 설립된 지역공동체였다. 하지만 이는 한국 전쟁의 발발로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결국 종전 이후 사회가 다소 안정화된 1954년에서야 위성계는 완성될 수 있었다. 동일 기관에서 동일한 목적을 표방하며 설립된 공동체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성격은 상이하였다. 두 공동체 사이에는 일제강점기와 해방이라는 거대한 사회적 전환이 외부 요인으로 개재하였고, 내부적으로는 구성원의 변화가 큰 영향을 미쳤다. 때문에 존성회와 위성계는 각기 다른 형태의 성현 보호 운동을 수행하였다. 향교의 정체성은 향교를 점유하고 있는 지역공동체의 성격에 따라 결정된다. 때문에 향교 연구를 위해서는 ‘공간’으로서의 향교가 아니라, 지역공동체의 ‘집결지’로 위치했던 향교에 주목해야 한다. 근대 이후 향교가 유교 문화의 재현 공간으로만 존재한 것이 아니라 지역공동체의 의견에 따라 소비된 유교문화의 부산물이었기 때문이다. 탈유교사회에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향교는 향교만의 역사가 아니라, 향교를 공유하고 있던 인간과 공동체의 발견을 통해 보다 넓은 시각으로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In December 1924, a movement to form a new community began in Jeonjuhyanggyo Confucian School in Jeollabuk-do. Yu-rim (儒林, Confucian scholar) that belonged to Jeonjuhyanggyo Confucian School lamented that ‘morality is slowly disappearing in society, and Confucian order declined that the society is becoming disastrous.’ Yu-rims held a meeting to establish Jonseonghoe(尊聖會) in order to eliminate moral laxity and spread Confucian morality in the society. Yu-rims who attended the meeting formed public opinion and established Jonseonghoe the next month, January 1925. Most of these Yu-rims were community leaders who maintained certain social status in the community. Most were in government servi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or in financial business or social organizations and were trusted by both the government and community. Since most of the members of Jonseonghoe were community leaders, Jonseonghoe had naturality with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t the time of organization in January 1925, 270 Yu-rims raised 1,000 won (圓) as Jonseonghoe fund. 3 years later in 1928, this fund doubled to 2,000 won. Yu-rims announced to use this fund for social indoctrination. Since the 1920s, social indoctrination was the main policy of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ecause they had to refine the public sentiment, which was intensified due to March 1st Movement in 1919. Members of JonseongHoe worked for this social indoctrination. Jonseonghoe lasted until Joseon was liberated in 1945. In September 1945, Jonseonghoe member list was re-published. However, wit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1950, Jonseonghoe was naturally disbanded. Later in 1952, when the traces of war still lingered, a movement to preserve Jeonjuhyanggyo Confucian School began. It was suggested by Lee Byeong-eun and his son, Lee Do-hyeong, who moved next to the school to protect it. They formed Wiseonggye (衛聖契) to repair ruined Jeonjuhyanggyo Confucian School and revive the community activities of the school. They were going to gather the Yu-rims spread throughout Jeonju area through Wiseonggye, and use donation for the repair and operation of Jeonjuhyanggyo Confucian School. However, public opinion was not formed easily, and this plan failed at the time in 1952. Lee Do-hyeong proposed it again in 1954, and at the end, Wiseonggye was established in 1954.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8-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태동고전연구 제24집 -> 태동고전연구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1 | 0.66 | 1.754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