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한국 최저임금제도의 변화: 역사적 제도주의 접근 = Changes in the Korean Minimum Wage System after 1997: Historical-Institutionalist Approach
저자
박라인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전문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1-118(38쪽)
제공처
한국의 최저임금제도는 80년대 후반 민주화 요구가 거세지는 흐름 속에서 정권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도입되었다. 하향식으로 도입된 최저임금제도는 저임금문제의 해결을 명분으로삼았고 최초의 노사정 합의기구인 최저임금위원회를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하지만 정부와 재계의 무시, 노동계 대표인 한국노총의 무능력으로 인해 최저임금제도는 유명무실한 제도로 표류하였고 사회적으로 잊혀진 제도가 되고 말았다. IMF 외환위기 이후 변화된 노동시장과 노동정치 환경 속에서 시민권을 획득하며 노동계를 대표하게 된 민주노총은 광범위한 연대를 형성하여 최저임금제도를 사회적 의제로 부각시키는 전략을 구사하면서 제도의 전기를 마련한다. 민주노총은 한국노총과 연합전선을 형성하고, 시민사회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최저임금제도의 기능 확대를 추구하는최저임금확대연합을 구성하여 최저임금제도를 사회적 의제로 부각시킨다. 이후 민주노동당의 원내진출을 통해서 최저임금확대연합은 자신들의 제도 개선 대안을 국회의 진지한 논의대상으로 만들었으며최저임금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는 등 주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리고 이 성과를 통해 한국의 최저임금제도는 저임금노동자의 보호를 위한 제도를 넘어서서 노동시장 양극화를 해소하고 재분배를 추구하는 제도로 전환되었다.
더보기South Korea’s minimum wage system, implemented in the late 80s as a strategic choice for an authoritarian regime amidst growing demands for democratization, was a top-down solution to the problem of low wages. It established the first Tripartite Commission in South Korea, the Minimum Wage Commission. However,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government neglect, business community indifference, and the incompetence of 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FKTU), the minimum wage system drifted and became a socially forgotten institution. The changed labor market and labor political environment after 1997’s foreign currency crisis in South Korea led to a significant shift.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KCTU), which gained citizenship and became one of the representatives of the labor community, played a pivotal role in this transformation. They developed a strategy to build broad social solidarity and make the minimum wage issue a major social agenda. This change marked a historical milestone for South Korea’s minimum wage system. KCTU formed a united front with the FKTU and formed the Minimum Wage Expansion Coalition, a network with civil society that seeks to expand the functions of the minimum wage system. Through the entry of the Democratic Labor Party into the National Assembly of South Korea, the Minimum Wage Expansion Coalition made their proposal a severe agenda in the National Assembly. It achieved notable results, including the passage of an amendment to the Minimum Wage Act. Through this achievement, the minimum wage system has moved beyond a protecting system for low-wage workers to a system that seeks to alleviate the problem of labor market polarization and enhance the redistribution of income among worker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