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친구 사귐의 문제를 위하여 다시 읽는 <마장전> = Rereading < Majangjeon > for the problems of making friend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5-127(33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낯선 사람과 아는 사람들의 격려와 위로, 때로는 미미한 관심을 받기를 기대하고 끊임없이 확인하려는 현대인들의 모습은 친구 사귐의 절박한 표현 같기도 하다. 하지만 막상 누구를 어떻게 사귈 것인지, 왜 사귈 것인지에 대해서는 뚜렷한 길이 보이지 않는 것도 현실이다. 그러면 우리는 그 길을 어디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인가. 이 글은 그 길이 사라지고 있는 우도와 친구 사귐의 어려움을 담아낸 연암의 <마장전(馬?傳)>에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에서 출발한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는 친구를 막 사귀려는 단계에서 적절한 제안을 담은 작품으로 <마장전>을 다시 읽고자 했던 것이다.
그를 위하여 우선, <마장전>이 친구 사귐의 단계별로 전개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에 따라 <마장전>의 내용은 어떤 사람을 사귈 것인지를 고민하는 친구 사귐의 제1단계와 친구를 막 사귀려면 어떻게 시작이 이루어질 것인지를 고민하는 친구 사귐의 제2단계에 이어 친구와 사귐이 시작되었을 때 그 사귐을 어떻게 이어갈 것인지를 고민하는 친구 사귐의 제3단계로 전개되고 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마장전>의 조탑타를 서사의 주체로 삼아 작품서사를 구성해 보았다. 그리하여 <마장전>에 등장하는 세 명의 인물 중에서 현재는 친구가 없어도 장차 친구를 사귈 수 있는 여지를 많이 안고 있는 인물이 조탑타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조탑타가 갖고 있는 특장 중에서도 자기주관이 강하여 흔들림이 없는 것이 친구를 사귀는 데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 전망하였다. 아울러 송욱이 말한 세 가지 방식은 <마장전> 내에서는 세명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부정적인 방식으로 제시되었으나, 막상 친구를 새로 사세 가지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방의 장점을 칭찬하지 말라`이다. 이것은 피상적인 사귐을 경계하고 진지한 사귐으로 들어가는 데 도움이 되는 주의사항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상대방이 생각하지 못한 것을 깨우쳐 주지 말라`이다. 이것은 끊임없이 상대방을 내 방식에 맞추려는 마음을 절제하는 것과 연결 지을 수 있다. 셋째,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누가 제일이라고 칭송하지 말라`이다. 이것은 어렵게 만들어 놓은 관계를 망치지 않게하는 주의사항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친구를 사귄 뒤에 어떻게 하면 그 관계를 지속시킬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골계선생이 강조한 `틈을 두라`는 것을 관련지어 볼 수 있다. 이때의 틈은 자칫 의존적이 되거나 서로의 차이를 무시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 관계를 오래 이어갈 수 있는 완충지대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골계선생은 친구 사귐을 위협하는 것이 틈의 부재임을 이야기하였고, 그로부터 틈을 두는 것이 친구 사귐을 지속시킬 수 있는 요인이기도 함을 생각할 수 있었던 것이다. <마장전>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여러 제안들은 친구를 사귀는 즈음에는 효과적일 수 있겠지만 친구와의 사귐이 우정으로 옮겨가고 우도로 올라가려면 시간과 노력이 더 필요할 것이다.
This article suggested that Parkjiwon`s < Majangjeon(馬?傳) > - which contain difficulties about fellowship of friends with disappearing the enlightenment of friendship - is not as assertive speaking that is no need to make friends, so emphasized that making friends is a difficult. In other words, < Majangjeon > is the contemplating work that how we can be available to start to make friends. This aspect has the burden in the discussion because of the different way we understand and study about < Majangjeon > until now.
But, < Majangjeon > is involved the delicate view of interest and friendship about he enlightenment of friendship or those people related the fellowship with friends. If you see these the delicate view, you will know that < Majangjeon > is not that far from the problem making friendsis, that is critical attention has been manifested only at close range.
So, Theses about making friends in < Majangjeon > is not the only message of nothingness. Rather, Ultimately, I suggest the good fellowship with friends by projecting the way in which boundaries and attention when dating a friend through the type of men appeared in < Majangjeon >. So this article, I re-read < Majangjeon > as the work to present a proper proposal in the beginning Step of making friends.
As a result, first, I suggest that the contents of < Majangjeon > may be related to the stage of the making friends and friends, and then suggestions which can be obtained for a making friends in < Majangjeon >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These three suggestions of friends and fellowship are as follows: First, when you make friends you must raise the center which you are to follow and believe it. Second, when you make you should refrain from unnecessary praise, answers, praises, etc. Third, in order to develop a relationship with a friend, you should have some gap. These three things are simple, but when you are moving in the right formidable practice. And these suggestions which can be effective by the time making friends will require more time and effort to grow as the enlightenment of friendship and to shift friendships. However, If the suggestion of making friends is made in reality you will be able to narrow down the distance to reach the enlightenment of friendship - So difficult to reach - a little bit.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1 | 1.231 | 0.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