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탈북자 문제 형상화의 새로운 양상 연구 = A study on new type of North Korean refugees formulation:Focused on ‘Border-crossing imagination’ in the <Baridegi(Origin of shaman)> and <Rin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5-245(31쪽)
KCI 피인용횟수
27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고에서는 황석영의 <바리데기>와 강영숙의 <리나>에 나타난 탈북자 문학의 새로운 양상을 고찰하였다. 두 작품은 탈북자의 삶을 다루면서 이를 남북의 문제로 바라보았던 기존의 관점을 넘어 전지구적 차원의 문제로 확장하고 있다. 지금까지 탈북자 문제를 다룬 작품들은 주로 이들의 최종 목적지로 ‘남한’을 상정하였다. 탈북자들이 남한 사회에 무사히 정착하는 것이 작품의 지향점이었다. 이러한 관점은 동일성에 기반한 흡수의 논리에 빠질 수 있는데, 탈북자 문제의 형상화가 남과 북의 특수성에 바탕한 분단 소설의 영역으로 수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최근 우리 문학에 중요한 쟁점으로 부상된 ‘탈국경의 상상력’과 연관하여 탈북자 문제 형상화의 새로운 양상을 고찰하였다.
탈북자로 설정된 바리와 리나의 이동 경로는 분단현실이 매개된 한반도에서 근대 사회의 형성과정이 함축된 한반도 너머로 확장되고 있는데, 이러한 공간의 이동은 디아스포라들의 이주와 연대의 상상력을 드러내고 있다. <바리데기>는 근대 이전의 전통 서사 양식의 차용을 통해 특수와 보편, 한반도와 그 너머, 근대와 탈근대를 매개하는 관계의 사유를 펼쳐 보이고 있다. 이에 비해 <리나>는 탈근대적 서사의 특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독창적인 ‘국경의 상상력’을 선보이고 있다. 전통 서사 양식과 탈근대적 성향의 서사는 ‘전지구적 자본의 이동과 편재’에 응전하는 디아스포라들의 삶을 구조화하는 주요한 형식으로 기능하고 있다. <바리데기>는 하위주체들이 구성하는 공통의 체험을, <리나>는 하나로 수렴될 수 없는 디아스포라들의 다층적 정체성을 포착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탈국경의 문학적 상상력은 근대적 주체의 고난의 여정과 탈근대적 주체의 유목을 통해 근대 국민국가의 안과 밖을 동시에 심문한다. 부정적 근대와 맞선 근대주의적 가치와 탈근대적 가치를 어떻게 결합할 것인가의 문제가 탈국경의 문학적 상상력이 해결해야 할 절박한 과제인 셈이다. <바리데기>는 피억압 디아스포라들의 구체적 삶을 ‘동정과 연민’(남을 위한 눈물 혹은 생명수)이라는 근대의 동일성 담론(바리설화)으로 수렴하고 있다는 점에서 탈근대적 가치를 모색하는 데 일정한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반면, <리나>에서는 국민국가의 경계를 탈주하려는 탈근대적 주체의 욕망이 전경화됨으로써, 부정적 근대에 맞선 근대적 가치의 영역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 <바리데기>에는 근대적 주체의 정체성을 심문하는 탈근대적 ‘차이의 연대’가, <리나>에는 탈북 디아스포라의 유목적 모험을 근대적 일상으로 끌어내리는 작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This study consider new type of North Korean refugees' literature in the <Baridegi> and <Rina>. Those expand into worldwide issue over existing standpoint that head for ‘South Korea’ as goal. This standpoint fall into schema of oneness. Because North Korean refugees formulation is comprised in national division novel which based on Korea particularity. North Korean refugees' literature expands into international literature as make trial of a national division novel confines in my opinion. Hence, North Korean refugees' literature aim to new possibility of literature that include particular division further migration and deconstruct of minority groups as well as joint
This study considers a new aspect of North Korean refugees' problem that connected ‘Border-crossing imagination’ in Korea commonwealth of writers recently.
Bari and Rina, North Korean refugees, migrate beyond from the Korean Peninsula by division realities to the Korean Peninsula that imply making modern society. This migration shows diasporas' imagination of migration and joint. <Baridegi> shows related thought that mediate between modern and post-modern/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Korea Peninsula and over there through traditional narrative form.
In comparison, <Rina> shows a creative ‘border imagination’ for making full use of postmodern narrative's feature. Traditional narrative and postmodern narrative construct diaspora's life resists ‘the global movement and the maldistribution of capital’. <Baridegi> focuses on commonm experience of subaltern and <Rina> focuses on multi-layered identity of diasporas. The task that concerns and connects the gap between the two can be said imminent problem which literary immagination of border-crossing should solv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04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문학논총외국어명 : Theses on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1 | 0.739 | 0.2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